FAO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량은 대부분 어획에 의한 것으로 잡는 어종도 대서양참다랑어가 242톤, 남방참다랑어가 1,428톤, 날개다랑어가 1,721톤, 눈다랑어가 23,054톤, 황다랑어가 60.205톤 등으로 다양하나 여기서는 세분하지 않고 합산하여 알아본다.
한편 FAO의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따르면 참치의 분류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등 8종을 포함하고 있으나 돛새치류는 제외하고 있다.
1998년작 영화 고질라 속에 소품으로 등장한 동원참치가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참치원양어업은 국가경제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도 10위권 이내를 유지하고 있다.
연도 | 단위: 톤 |
1985년 | 77,207 |
1986년 | 82,875 |
1987년 | 90,479 |
1988년 | 82,952 |
1989년 | 89,979 |
1990년 | 94,126 |
1991년 | 94,786 |
1992년 | 109,362 |
1993년 | 93,038 |
1994년 | 97,066 |
1995년 | 79,872 |
1996년 | 66,404 |
1997년 | 96,575 |
1998년 | 112,256 |
1999년 | 72,454 |
2000년 | 81,359 |
2001년 | 93,057 |
2002년 | 83,974 |
2003년 | 76,080 |
2004년 | 69,137 |
2005년 | 80,554 |
2006년 | 82,388 |
2007년 | 79,497 |
2008년 | 93,958 |
2009년 | 62,391 |
2010년 | 95,393 |
2011년 | 70,637 |
2012년 | 88,283 |
2013년 | 69,389 |
2014년 | 90,376 |
2015년 | 79,217 |
2016년 | 99,550 |
2017년 | 90,673 |
2018년 | 87,987 |
2019년 | 83,763 |
2020년 | 86,212 |
2021년 | 86,651 |
먼저 병계(並継), 역병계(逆並継), 인롱계(印籠継)를 하나씩 알아보면 동양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아우르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기에…
농어루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어종을 공략하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루어의 종류로써, 바이브레이션이란…
오늘은 구독자분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렸으나 조금 부족한 듯하여 일본 마루큐에서 만드는 파우더제품 중 시오이카고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