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우리나라의 임연수어 어획량 통계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 군생활을 할 때 자주 나오던 임연수어 튀김을 보고 놀랐던 적이 있다.

그보다 어린 시절 부산에서 “임연수어는 지나가던 개도 안 쳐다본다”는 말을 들으며 자랐을 정도로 홀대받던 생선이었는데 군에서 먹어본 맛은 홀대받을 생선이 결코 아니었다.

FAO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의 임연수어 어획량은 모두 141,983톤이며 이 중 44.1%인 62,261톤의 어획고를 올린 미국이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일본이 45,500톤으로 2위, 러시아가 26,462톤으로 3위를 차지하였으며 4위를 기록한 우리나라의 어획고는 3,415톤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임연수어 어획량은 1981년에 28,543톤으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해마다 감소추세에 있으며 특히 2011년에는 81톤의 어획고를 올리는데 그쳤다.

한편 FAO는 임연수어의 통계에 ‘흰살생선과 붉은살생선 외에 파란살생선도 있다는 걸 아시나요?라는 제목의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링코드(lingcod 또는 ling cod)라는 어종과 쥐노래미의 어획고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양식(養殖)도 하고 있는 바 양식으로 생산하는 양도 통계에 포함하고 있다.

 

연도
어획량(톤)
1985년
25,059
1986년
11,888
1987년
9,477
1988년
4,192
1989년
4,231
1990년
5,599
1991년
5,000
1992년
2,942
1993년
5,846
1994년
3,552
1995년
3,342
1996년
4,122
1997년
2,983
1998년
7,911
1999년
1,005
2000년
2,554
2001년
1,264
2002년
627
2003년
3,088
2004년
772
2005년
1,057
2006년
1,302
2007년
1,266
2008년
758
2009년
191
2010년
1,470
2011년
81
2012년
551
2013년
1,136
2014년
1,125
2015년
1,448
2016년
3,507
2017년
172
2018년
740
2019년
2,226
2020년
629
2021년
3,415

낚만 지월

Recent Posts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4일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7일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3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3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3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