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우리나라의 미역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기준 전 세계의 미역생산량은 274만 6천여 톤으로 그 중 77.3%인 212만 여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우리나라가 58만 여 톤으로 21.1%를 차지하고 있고 3위인 일본이 43,500톤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99.9%를 세 나라가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미역이 침략적 외래종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질 않다. 뿐만 아니라 왜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미역은 부영양화 물질인 질소와 인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하므로 환경을 보호하는 지킴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왜 침략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미역을 먹는 나라가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역은 한국과 일본 및 북한이 주로 먹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소비량은 일본의 3배에 이를 정도지만 다른 외국에서는 거의 먹질 않으니 경제적 가치가 없다고 볼 수 있는데 가치가 없는 미역이 양식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으니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이다.

한 예를 들면 뉴질랜드의 바닷가재 양식장에 미역이 번식해 대량으로 폐사한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뉴질랜드에서는 미역을 발견하면 행정기관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는데 미역이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것은 선박의 평형수(Sailing ballast) 때문이라 한다.

1973년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의 평형수로 인해 박테리아가 이동하여 전염병이 창궐할 위험성이 대두하자 ‘선박의 평형수와 침전물의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는데 여기서 규정하고 있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수생생물 10종(Ten of the Most Unwanted)의 하나로 미역을 규정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IMO의 Ten of the Most Unwanted

미역은 굴이나 가리비, 홍합과 가재 등의 성장을 저해하여 수산업에 큰 피해를 입히는 바람에 비록 전 세계적으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고는 있으나 우리에겐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의 하나인 미역의 채집량과 양식으로 생산하는 양이 얼마나 되는지 그 통계를 알아보면 우선 미역의 채집은 FAO에 따르면 한국과 스페인이 유일하다고 하며 2021년에 우리나라는 5,000톤의 미역을 채집하였다고 한다.

반면에 양식으로 생산하는 미역은 574,585톤에 달해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달성하였다고 한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1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1주 ago

직결매듭법-FG노트

FG노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아무리 쉬운 방법이라고 해도 숙달되기까지에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흰…

1주 ago

스윔베이트의 관절 수는 몇 개가 가장 좋을까?

배스낚시에서 사용하는 루어의 움직임이 얼마나 진짜 미끼와 닮았는지 하는 것은 루어를 만드는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이를…

1주 ago

알을 밴 포란상태의 무늬오징어를 확인하는 방법

대물 무늬오징어를 노릴 수 있는 봄철은 많은 에깅낚시인들의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