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우리나라의 미역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기준 전 세계의 미역생산량은 274만 6천여 톤으로 그 중 77.3%인 212만 여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우리나라가 58만 여 톤으로 21.1%를 차지하고 있고 3위인 일본이 43,500톤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99.9%를 세 나라가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미역이 침략적 외래종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질 않다. 뿐만 아니라 왜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미역은 부영양화 물질인 질소와 인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하므로 환경을 보호하는 지킴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왜 침략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미역을 먹는 나라가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역은 한국과 일본 및 북한이 주로 먹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소비량은 일본의 3배에 이를 정도지만 다른 외국에서는 거의 먹질 않으니 경제적 가치가 없다고 볼 수 있는데 가치가 없는 미역이 양식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으니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이다.

한 예를 들면 뉴질랜드의 바닷가재 양식장에 미역이 번식해 대량으로 폐사한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뉴질랜드에서는 미역을 발견하면 행정기관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는데 미역이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것은 선박의 평형수(Sailing ballast) 때문이라 한다.

1973년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의 평형수로 인해 박테리아가 이동하여 전염병이 창궐할 위험성이 대두하자 ‘선박의 평형수와 침전물의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는데 여기서 규정하고 있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수생생물 10종(Ten of the Most Unwanted)의 하나로 미역을 규정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IMO의 Ten of the Most Unwanted

미역은 굴이나 가리비, 홍합과 가재 등의 성장을 저해하여 수산업에 큰 피해를 입히는 바람에 비록 전 세계적으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고는 있으나 우리에겐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의 하나인 미역의 채집량과 양식으로 생산하는 양이 얼마나 되는지 그 통계를 알아보면 우선 미역의 채집은 FAO에 따르면 한국과 스페인이 유일하다고 하며 2021년에 우리나라는 5,000톤의 미역을 채집하였다고 한다.

반면에 양식으로 생산하는 미역은 574,585톤에 달해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달성하였다고 한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낚싯대의 블랭크에 대하여

  로드의 제작은 우선 카본 원단을 재단하여 심에 감아 테이핑 한 후 가열하고 심을 빼내는…

4일 ago

시마노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마노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를 한…

1주 ago

한국시장이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낚시용품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다이와의 이름은 정확하게는 글로브라이드 주식회사(GLOBERIDE, Inc)이며 다양한 사업분야 중에서…

1주 ago

물고기를 못 잡으면 죽을 수도 있었다.

개인적으로 탐구를 계속하고 있는 한국 바다낚시의 역사에 대하여 올해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1주 ago

죽음의 방파제

우리나라에서도 테트라나 갯바위 등에서 낚시를 하다 사망하는 경우도 있고,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정부나 지자체에서 낚시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2주 ago

낚시를 좋아했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

금세기를 대표하는 베이스 가수라는 평가를 받는 러시아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이 낚시를 좋아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