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의 문어 어획량 통계에서 알아보았던 모리타니아는 2021년 27,277톤의 어획고를 올려 4위를 차지하였으나 어획량의 거의 대부분을 중국업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전부가 수출되고 있는데 주된 수출국이 일본이다.
일본이 어업기술을 전수하여 모리타니아의 문어어업이 발전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일본은 안정적인 문어 수입량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이젠 중국업체들이 장악하기에 이르러 볼멘 소리와 함께 가격인상에 대한 우려 섞인 소리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아무튼 우리나라는 2021년에 19,098톤의 어회량을 기록하여 4위 모리타니아, 5위 일본, 6위 인도네시아에 이어서 7위를 차지하였다.
연도 | 톤 |
1985년 | 20,410 |
1986년 | 16,395 |
1987년 | 12,571 |
1988년 | 10,368 |
1989년 | 13,326 |
1990년 | 11,786 |
1991년 | 10,963 |
1992년 | 11,533 |
1993년 | 7,899 |
1994년 | 8,465 |
1995년 | 22,142 |
1996년 | 21,707 |
1997년 | 23,084 |
1998년 | 27,174 |
1999년 | 22,674 |
2000년 | 19,605 |
2001년 | 19,965 |
2002년 | 21,703 |
2003년 | 17,786 |
2004년 | 18,581 |
2005년 | 19,765 |
2006년 | 19,873 |
2007년 | 27,494 |
2008년 | 23,812 |
2009년 | 27,402 |
2010년 | 20,759 |
2011년 | 19,468 |
2012년 | 19,510 |
2013년 | 16,689 |
2014년 | 17,726 |
2015년 | 18,535 |
2016년 | 18,090 |
2017년 | 19,612 |
2018년 | 19,241 |
2019년 | 19,554 |
2020년 | 19,366 |
2021년 | 19,049 |
지인으로부터 유럽의 스피닝 릴 중에서 모델명에 에어리어(Area)라고 붙어있는 것이 있던데, 여기에 붙은 에어리어(Area)가 무슨 뜻인지…
먼저 병계(並継), 역병계(逆並継), 인롱계(印籠継)를 하나씩 알아보면 동양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아우르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