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투낚시

우럭을 포함한 락피쉬(rock fish) 공략법

락피쉬의 일반적인 습성

먼 바다를 회유하는 종류의 물고기는 근육의 산소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끊어지면 오래 살지 못합니다. 그러나 락피쉬의 대부분은 산소 없이 몇 시간 동안 살아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락피쉬 계열의 어종은 수영하는 거리가 짧으며 해저에서 매복하여 먹이를 포식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먹이의 섭취량이 다른 어종에 비해 적으며 락피쉬를 잡아서 배를 갈라 보면 먹이가 들어 있는 경우를 발견하기가 극히 드뭅니다.

그렇기 때문에 먹잇감을 발견하면 확인하지 않고 단숨에 달려드는 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락피쉬의 서식지가 바위틈 등이기 때문에 그물로는 대량 포획을 하지는 못하지만 회유성이 아닌 정착성 어종이라 그 개체수는 감소추세에 있습니다. 따라서 법으로 금지하는 크기 이하의 물고기는 반드시 방생하는 것을 실천하여야만 오래도록 즐거운 낚시를 즐길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200m를 넘으면 햇빛이 닿지 않게 되어 해조류가 광합성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200m를 경계로 더 깊은 곳을 심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200m보다 얕다고 하더라도 바닷물이 탁하면 햇빛이 닿지 않아 식물성 플랑크톤이 자라지 않기 때문에 서해안에서는 그리 깊지 않은 수심에서도 락피쉬 계열의 어종을 잡을 수 있는 것입니다.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많아 먹잇감이 풍부하고 몸을 숨길 곳이 많은 바위에 거주하는 습성을 가진 락피쉬의 대표적인 어종이 바로 우럭과 볼락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는 약 28,000여 종의 어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담수어가 약 12,000종, 바다에 서식하는 어종이 약 16,000종이며 그 가운데 심해어종이 약 3,200종, 전갱이, 고등어와 같이 표층에 서식하는 어종이 360여 종이고 나머지 12.400여 종이 연안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락피쉬를 잡기 위해서는 밑걸림을 각오해야!

대부분의 락피쉬는 수영 능력이 좋지 않아 바위 그늘에 숨어서 먹잇감이 가까이 오는 것을 기다립니다. 이런 매복형의 식성 때문에 물고기 앞에 미끼를 드리워야만 잡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미끼를 달아 낚싯대를 던져도 전갱이와 같이 회유하여 접근하지도 않고 벵에돔처럼 떼를 지어 몰려들지도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락피쉬가 어디에 숨어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번에 포스팅한 것과 같이 반드시 해저면의 지형을 파악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만 좋은 조과를 올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숨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알았다고 하더라도 락피쉬가 서식하는 곳은 바위와 같은 장애물이 많은 장소이기 때문에 밑걸림은 반드시 따라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처법을 숙지하고 익혀두는 것이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물론 원투낚시에서는 밑걸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채비법이 있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없으며, 모래와 바위 등의 장소에 따라서 밑걸림을 줄이는 채비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글은 별도로 작성하도록 할 생각으로 있습니다.

이런 락피쉬 가운데에서 한국에서 잡히는 대표적인 어종으로는 볼락, 우럭(조피볼락), 쏨뱅이, 놀래미, 붉바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락피쉬 낚시는 밤이 좋다!

낮에는 바위 그늘에 은신하고 있다가 밤이 되어 어두워지면 그리 멀지 않은 거리까지 헤엄치며 먹이를 섭취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밤낚시의 조과가 훨씬 좋은 편입니다

그리고 낚시하는 방법도 원투낚시를 비롯하여 찌낚시, 루어낚시로도 잡을 수가 있고 특히 테트라 구멍치기는 아주 좋은 조과를 볼 수 있지만 각별히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는 점과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도 착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특히 수도권에서 많이 찾는 낚시터인 시화방조제의 경우에는 치어를 잡아 방생하지 않거나 함부로 버리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회유성 어종이 아닌 우럭의 개체수는 점점 줄어들어 언젠가는 시방에서 우럭을 잡았다고 하면 전설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원투낚시는 정확한 포인트를 노릴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우럭과 붕장어 등의 바닥층의 고기를 잡을 수 있으며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생태와 산란

많은 수중 생물들이 산란을 시작하는 봄을 맞아 갑오징어도 산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낚시와 관련한 글에서 언제나…

3시간 ago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만든 정당들

맥주를 마시기 위해서 치킨을 먹는 것일까? 아니면 치킨을 먹기 위해서 맥주를 마시는 것일까? 아무튼 치맥은…

2일 ago

신안군 장산도 갯바위 낚시 포인트(8개소)

장산도의 주요 어종은 농어, 감성돔, 붕장어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3일 ago

쉽게 이해하는 카본 로드(낚싯대)의 톤수

현재 낚싯대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소재는 탄소섬유(카본)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카본의 탄성계수를 표시하는 30t, 40t라고…

6일 ago

원투낚시와 조목(潮目)

조목에 관한 글을 올린지도 벌써 1년여가 지난 것을 보니 시간이 참 빠르기는 합니다. 조목(潮目)이 무엇인지…

1주 ago

고래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feat. 아바타: 물의 길)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인 ‘아바타: 물의 길’이 일본에서 개봉되기 전 마련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진행된…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