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오징어 낚시는 봄과 가을이 베스트 시즌이라고들 합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늦여름까지 어린 무늬오징어가 출생하고 가을에는 경계심이 적은 어린 오징어들이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가을은 마릿수를 노릴 수 있는 최고의 시즌이 되는 것이고 이런 어린 무늬오징어가 겨울이 되면 먼 바다로 나가고, 봄이 되면 성체가 된 무늬오징어들이 산란을 위해 조류가 있고 해초가 밀집한 지역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봄철은 대형 무늬오징어를 잡을 수 있는 최적의 시기로 알려져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무늬오징어는 수심이 깊은 곳에 서식하지만,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는 산란을 위해 해안 근처의 수심이 얕은 곳으로 옵니다. 20일 정도의 산란기간을 지나면 알에서 부화한 어린 무늬오징어는 얕은 바다에서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포식하고 성장하며, 여름에서 가을까지는 연안의 얕은 바다에서 몸길이 15cm~20cm 정도까지 성장하고 겨울이 되면 다시 깊은 바다로 이동합니다.
과연 여름과 겨울에는 무늬오징어가 잡히지 않는 것일까요?
무늬오징어는 일반적으로 시기를 불문하고 잡히는 바다낚시의 대상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연중 잡히는 곳은 아주 국한된 지역입니다.
여름에는 몸길이 수 cm의 어린 것들이 얕은 바다에서 낙엽처럼 파도에 떠다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여름철은 무늬오징어의 크기가 너무 작아 에깅낚시에 잘 잡히지 않는 것이며 겨울철은 성장을 위해 먼 바다로 나가기 때문에 개체수가 적어 방파제 등에서는 잘 잡히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봄과 가을이 베스트 시즌임은 분명하지만 여름과 겨울에도 무늬오징어가 잡히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무늬오징어는 온도에 민감하여 너무 덥거나 추운 것을 싫어하는데 여름과 겨울은 연안에서 적합한 수온을 유지하는 장소가 드물기 때문에 잡기가 어렵지만 실제로 본인도 12월이나 1월에 무늬오징어를 잡은 경험도 있고, 7월과 8월의 여름에도 잡은 일이 있습니다.
공식화 되다시피 한 내용 중의 하나인 “봄=대물 무늬오징어, 가을=어린 무늬오징어”라는 것도 정확한 것만은 아닌 것이 봄에 잡은 것이 500g 정도 되는 것도 있고 가을에 1kg 이상의 무늬오징어를 잡은 일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이러한 변화는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무늬오징어의 산란기가 조금씩 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정을 해봅니다.
무늬오징어는 1년생으로 봄에 산란을 마친 후 여름에는 대부분의 성체 무늬오징어는 생명을 다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대물을 잡기가 매우 어려운 시기지만 환경변화로 인해 산란기가 늦어져 여름철 늦게까지 남아있는 개체도 있기 때문에 이를 노리고 낚을 수 있습니다.
여름철은 수온이 높은 반면에 오징어의 움직임은 활발하므로 다른 시기에 비해 에기를 끌고나가는 힘이 강한 것이 매력이며 드랙이 풀리는 소리를 듣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봄과 가을에 비해 개체수는 적지만, 계절에 맞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성수기를 능가하는 즐거운 에깅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수온이 높고, 내항이나 만의 안쪽과 같이 물의 움직임이 적은 곳은 무늬오징어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외항에 면한 제방이나 갯바위 등 조류나 파도가 부서지는 곳, 또는 바다에서 흰 포말이 보이는 곳과 같이 조류의 움직임이 있는 곳이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늬오징어는 너무 강한 여름철 햇빛을 피하기 위해 그림자가 있는 곳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할 사항입니다.
제방이나 갯바위 등에 파도가 부서져 하얗게 포말이 생기는 곳에는 무늬오징어의 먹이가 많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최상의 포인트라고 할 수 있으며 여름철 태풍이 오기 전에 거칠어지는 파도가 있는 날이나 바다의 파도는 높지만 그 간격은 긴 날이 최적의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다가 거칠어진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위험하다는 말도 되기 때문에 안전에 유의하여야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름철 에깅낚시에서는 에기의 액션이 달라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수온은 높지만 반면에 먹잇감이 풍부하여 미끼를 쫓는 무늬오징어의 움직임이 아주 활발하기 때문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액션은 가급적 피하고 수평으로 액션을 주는 것이 조과에 크게 영향을 줍니다.
농어루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어종을 공략하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루어의 종류로써, 바이브레이션이란…
오늘은 구독자분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렸으나 조금 부족한 듯하여 일본 마루큐에서 만드는 파우더제품 중 시오이카고로에…
우이도의 주요 어종은 농어, 감성돔, 노래미, 우럭, 붕장어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지난번에 알아본 “FG노트”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리더 라인이 고정된 상태의 설명이었기에 직접 따라 하기에는 어려운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