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

어부들의 지혜와 애환이 담겨 있는 더플코트(Duffel coat)

벨기에 앤트워프의 지방도시 더플(Duffel)에서 생산되는 직물로 만들어진 것에서 유래하여 이름 붙은 더플코트(Duffel coat)는 겨울철 패션 아이템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원래 더플(Duffel)에서 생산되던 천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더플코트(Duffel coat)의 소재와는 다른데 군에서 사용하는 더플 백(Duffel bag)의 소재가 그 원형에 가까운 것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더플 백(Duffel bag)이란 이름 또한 더플(Duffel)에서 생산되던 천으로 만들어진 것에서 유래하였다.

더플코트는 1820년대 폴란드에서 만들어진 후드 일체형의 프록코트(frock coat)에 토글(toggle fastening)이라는 작은 통나무 모양의 나무 재질로 만든 단추를 사용한 디자인으로 널리 유럽에 퍼졌는데 1887년에 영국의 의류업체인 존 패트리지(John Partridge)가 지금의 디자인과 유사한 더플코트를 생산한 것이 처음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시에 만들어진 것은 지금과 같이 길이가 길지는 않았다고 한다.

토글(toggle fastening)

그 후 1890년대에 영국왕립해군에서는 해군에게 보급되는 피복의 소재는 모두 영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만 한다는 규정을 만들고 양모를 대량으로 구입하여 의류 제조업체에 위탁하여 지금의 더플코트(Duffel coat)와 닮은 디자인으로 제작하였는데 그 때 붙여진 이름이 컨보이 코트(convoy coat)였다.

따라서 더플 백(Duffel bag)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거칠고 무거운 소재로는 만들어진 적이 없었으며 더플코트(Duffel coat)가 인기를 끌게 된 데에는 버나드 로 몽고메리(Bernard Law Montgomery) 장군의 역할이 아주 컸다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더플코트(Duffel coat)를 입고 전선을 누비는 몽고메리의 모습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그의 애칭을 따서 몬티 코트(Monty Coat)로 불리기도 했는데 심지어는 적국이었던 이탈리아에서는 아예 더플코트(Duffel coat)를 몽고메리(Montgomery)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우측이 몽고메리

캐나다군을 방문한 몽고메리(왼쪽에서 3번째)와 더플코트를 입고 있는 캐나다의 해리 크레라(Harry Crerar) 장군(왼쪽에서 2번째)

영국왕립해군에서 더플코트(Duffel coat)를 만든 목적은 추운 겨울 갑판에서 근무하는 병사들을 위한 방한복의 성격이 강했는데 원래 앤트워프의 더플(Duffel)에서 생산되던 천으로 만들어진 코트는 북해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어부들이 옷을 만들 때 사용하였다.

그리고 추운 겨울 배위에서 장갑을 낀 손으로도 쉽게 단추를 채우고 풀도록 하기 위해서 모양은 고리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만들고 그 크기도 큰 토글(toggle fastening)을 만들었던 것이다.

더플코트(Duffel coat)를 입고 있는 영국해군(2차 대전)

 

그러나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토글(toggle fastening)에는 어부들의 생명을 지키려는 지혜가 숨어있음을 알게 된다.

배위에서 일을 하다 잘못 하여 북해의 추운 바다에 빠지게 되면 살기 위해서는 재빨리 두꺼운 코트를 벗어야만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실용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형태의 단추가 필요했고 그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토글(toggle fastening)인 것이었다.

이처럼 우리가 입는 더플코트(Duffel coat)에는 북해의 추운바다에서 살아남기 위한 어부들의 지혜와 그들의 애환이 담겨 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14시간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3일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2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2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3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4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