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어/서프루어

써밍은 알지만 페더링은 모른다?

캐스팅 할 때 라인(낚싯줄)이 릴에서 방출되면서 날아가다가 물에 착수하면 갑자기 라인의 텐션이 줄어들면서 느슨해지는데 이럴 경우 대처를 잘못하면 라인트러블의 원인이 되며 특히 베이트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흔히 백래쉬라고 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베이트 캐스팅을 할 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스풀을 엄지로 살짝 눌러 라인이 과도하게 방출됨으로써 인해 낚싯줄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써밍(Thumbing)이란 동작을 취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라인트러블을 줄이는 동작은 스피닝릴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스피닝릴을 이용한 캐스팅을 할 때, 베이트릴의 써밍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을 일컬어 페더링(Feathering)이란 이름으로 부릅니다.

 

페더링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깃털처럼 가볍게 만지는 동작입니다. 사용하는 손가락은 주로 검지와 중지이며 이런 페더링을 하는 이유는 특히 루어낚시에서 루어가 착수하면 라인의 텐션이 없어지고 스풀의 라인은 이완되는데 이렇게 이완되어 있는 상태에서 릴을 감으면 아래 사진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이것을 모른체 라인을 감으면 루어의 무게와 물의 저항에 의해 라인은 다시 텐션이 걸려 감기고 이런 릴링이 반복되면 라인트러블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라인트러블을 감소시키는 것 이외에도 캐스팅의 정확도를 위해서도 써밍과 페더링이란 동작을 합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같은 기능을 하면서 다른 이름을 가진 써밍과 페더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1시간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1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2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