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 릴

시마노 릴의 연식을 확인하는 방법(릴풋에 붙어 있는 스티커의 의미)

낚시를 좋아하는 분들은 아마도 시마노사의 릴을 한 두 개 정도는 가지고 계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시마노사 릴의 모든 제품의 릴풋(릴다리)에는 사진과 같이 동그란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께서 이 스티커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잘 모르고 계시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동그란 스티커에 적힌 글자가 무엇을 뜻하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동그란 스티커에 적혀 있는 3가지 영문 이니셜은 제조연월과 원산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것에 대한 시마노사의 공식적인 언급은 없으며 단지 낚시인들이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린 것이란 점을 밝혀둡니다.

먼저 제조연도를 나타내는 첫 번째 영문 이니셜은 “A”가 2002년이며 순서대로 “B”는 2003년, “C”는 2004년을 뜻하며 사진의 릴은 이니셜이 “N”이므로 2015년에 생산된 제품이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파뱉의 마지막인 “Z”가 2027년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후에는 또 다시 변경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A
2002년
B
2003년
C
2004년
D
2005년
E
2006년
F
2007년
G
2008년
H
2009년
I
2010년
J
2011년
K
2012년
L
2013년
M
2014년
N
2015년
O
2016년
P
2017년
Q
2018년
R
2019년
S
2020년
T
2021년
U
2022년
V
2023년
W
2024년
X
2025년
Y
2026년
Z
2027

 

두 번째 영문 이니셜은 A부터 L까지 사용되는데 이것도 A부터 순서대로 1월, B는 2월, C는 3월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사진의 제품은 8월에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1월
A
2월
B
3월
C
4월
D
5월
E
6월
F
7월
G
8월
H
9월
I
10월
J
11월
K
12월
L

마지막으로 세 번째 이니셜은 제조국을 나타내는데 원산지는 스티커 안의 이니셜 외에도 릴풋(릴다리)에 양각이나 음각으로 표기를 하고 있어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참고로 말씀 드리면 현재의 원산지는 일본과 말레이시아 두 곳만이 존재하며 일본에서 생산된 제품에는 “S”를 붙이고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된 것에는 “P”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된 제품에 “M”이 아닌 “P”를 사용했을까요? 그것은 시마노의 말레이시아 공장을 총괄하는 회사가 싱가폴(SPL)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데 “S”는 이미 일본의 본사가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다음 알파뱉인 “P”를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전에는 한국에서도 시마노 제품을 OEM방식으로 생산하고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아래의 표와 같은 의미를 담고 있었다고 합니다.

H
사이타마의 히요시산업과 한국의 히요시낚시
O
한국 서울조구(http://viking.co.kr/)
P
말레이시아
S
일본 시마노 본사
Y
일본 시마노 야마구치

 

1970~80년대 한국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과 맞물려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외국기업의 하청업체로 OEM생산을 주로 하던 한국의 낚시산업이 임금의 상승과 여타 생산비용의 증가로 외국기업이 물량의 구매선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부터 내리막을 걷기 시작하여 산업의 규모가 축소된 것이 위의 표에서도 여실히 나타나 조금 씁쓸하기는 하지만 최고제품을 개발, 생산하려는 업체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일정 부분(특히 낚싯줄(PE라인: 합사))에서는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는 제품이 탄생하는 등 개선되는 기미는 보이지만 방송 등에서 광고하는 일부 조악한 제품을 보면 품질의 고급화보다는 마케팅에만 주력하여 매출을 증대하려는 기업의 바람직하지 못한 속내가 보여 실망스럽기도 합니다.

아무튼 오늘은 몰라도 무방한 것이긴 하지만 시마노의 릴풋에 붙어 있는 스티커 안의 영문 이니셜이 뜻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7시간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2일 ago

갑각류는 삶거나 찔 때 고통을 느낀답니다.

동물보호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는 가장 앞선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스위스에서는 기니피그와 앵무새와 같이…

2일 ago

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

이제 가을도 지나고 겨울의 문턱에 서 있다. 이것은 술을 즐기는 내가 좋아하는 안주인 생굴을 맘껏…

4일 ago

수질이 다른 저수지에서 배스를 잡는 방법

이전에 “물의 맑기를 나타내는 영어표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물의 맑기, 즉 수질(水質)에 따라 배스를 잡기 위해서는…

4일 ago

가을철 무늬오징어 낚시

본격적으로로 시작된 주꾸미 시즌을 맞아 근자에 사회적으로 약간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에 대해서 편한 마음은…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