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 릴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은 왜 만들었을까?

스피닝릴의 기능 중에서 많은 낚시인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역회전 방지 레버란 것이 있다. 역회전 방지 레버 또는 역회전 방지 스토퍼라고도 부르는 것은 무슨 이유로 만들었을까?

오늘은, 많은 낚시인들이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무슨 이유로 만든 것인지 그 이유를 잘 모르는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스피닝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은 오래전부터 사용했었다는 것은 예전에 세계의 스피닝릴 시리즈 7편 “알체도와 미첼의 한 판 승부”에서 알아본 적이 있었다.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은 스피닝릴의 발전과 그 궤를 같이 하면서 변화해왔는데 현대의 스피닝릴들은 로터의 외부에 스풀이 있는 아웃 스풀의 방식인 반면, 초기의 스피닝릴들은 로터의 내부에 스풀이 들어있는 인 스풀의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드랙의 성능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물고기를 걸었을 때 로터의 바깥쪽을 손으로 눌러 라인의 방출을 제어함으로써 현재의 역회전 방지 레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곤 했었다.

그러다가 반스탈에 의해서 롤러 베어링을 사용한 역회전 방지기능을 스피닝릴에 탑재하게 되면서부터 업체마다 이것을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이 되어 원웨이 클러치를 영어권에서는 인스턴트 안티 리버스(Instant Anti-Revers), 일본의 다이와에서는 인피니트 스토퍼, 시마노에서는 롤러 클러치라고 부르게 되었다.

특히 갯바위에서 하는 찌낚시의 경우 물고기가 강한 힘으로 차고 나갈 때 드랙의 성능이 따라가지 못해 로드를 세울 수 없거나, 나쁜 발판으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스풀을 역회전시켜 라인을 방출하는 기능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단지 역회전시키기만 하는 것은 라인트러블이 일어날 수 있어서 역회전 레버를 작동시킨 상태에서도 손가락으로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면서 낚시를 하는 것은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에게는 익숙한 기술의 하나였고 이런 테크닉은 베이트릴을 사용할 때 시현하는 분들도 많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에 비해 로드와 라인 및 무엇보다 스피닝릴의 드랙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이젠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되었기에 업체마다 역회전 방지 레버를 탑재하는 않은 모델들을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은 대물과의 싸움에서 쉽게 라인을 제어할 수 있는 LB릴이 출시되고 있어서 앞으로 갈수록 역회전 방지 레버를 탑재하지 않은 모델들이 더 많이 시판될 것으로 보인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1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1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2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3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3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