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선유도/무녀도/장자도/신시도 갯바위낚시 포인트(13개소)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신시도 부근의 주요 어종은 넙치, 노래미, 농어, 도다리, 삼치, 양태, 우럭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원투낚시는 미꾸라지, 오징어살, 전갱이,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크릴, 홍갯지렁이 등을 사용한다. 이 지역은 최근 농어의 조황이 굉장히 좋아 농어 공략 낚시채비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자전거 및 스쿠터 대여점이 많고 연도교가 있어 선유장자무녀도 간의 이동이 편리하다.

 

※ 새만금 방조제는 06:00~19:00시까지만 통행이 가능하므로 신시도 진입 시 주의하여야 하며 선유도 북도 동쪽, 무녀도 홍여 부근, 신시도 남단 간출여 부근, 신시도 북단 곶부리의 갯바위 포인트는 진입이 어렵고 갯바위가 협소하므로 초보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기상

안개가 자주 발생하고 특히 겨울철에는 대륙성고기압이 확장할 때는 돌풍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조류

고군산군도 해역은 섬들이 많이 흩어져 있어 조류현상도 여러 갈래의 항로를 따라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등 매우 복잡한 현상으로 지형세를 따라 흐르지만 대체로 창조류는 북동류, 낙조류는 남서류하며, 최강 창/낙조류는 약 2.6kn 내외이다.

 

계절별 주요 대상어종 및 평균수온

봄 평균수온 표층:13.9°C / 저층:10.6°C 넙치, 도다리, 노래미, 붕장어, 양태, 우럭

여름 평균수온 표층:24.5°C / 저층:24.0° 넙치, 도다리, 노래미, 붕장어, 농어, 양태, 우럭

가을 평균수온 표층:12.3°C / 저층:12.1° 넙치, 노래미, 도다리, 농어, 붕장어, 삼치, 우럭

겨울 평균수온 표층:4.3°C / 저층:4.5°C 노래미

 

대상어 및 낚시채비

▶넙치루어, 원투

노래미루어, 릴찌, 장대, 원투

▶농어루어, 릴찌

붕장어원투

▶우럭릴찌, 원투

 

숙박정보

선유민박(선유도) 063) 465-7275                            다정민박(선유도) 063) 465-4944

명사십리펜션민박(선유도) 010-9146-0309          장자도민박(장자도) 063) 465-2643

장자도바위섬펜션(장자도) 063) 466-8005           바다풍경(장자도) 010-2296-2435

무녀도민박(무녀도) 063) 466-0666                       황제민박(무녀도) 063) 465-7054

성수민박(무녀도) 063) 456-6310                           황토펜션(신시도) 063) 463-5311

우성식당민박(신시도) 063) 466-7399                    은성민박(신시도) 063) 461-3416

 

 

주변 관광정보

•망주봉(선유도) – 선유도의 상징인 망주봉은 거대한 바위산으로 여름철 소나기가 내리고 나면 망주봉의 두 봉오리에서 흘러 내리는 빗물이 장관을 이룬다.

 

 

•선유도해수욕장(선유도) – 선유도 진말과 망주봉을 잇는 해수욕장으로 밀물 때면 앞뒤로 물이 들어와 폭 6~7m의 기다란 모래둑만 남는 모습이 경이롭다.

 

 

•모감주나무군락지(무녀도) – 비누대용이나 염주의 주재료가 되어 금강자라고도 불리는 모감주나무는 세계적으로 희귀종이며 해안과 인접한 곳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새만금방조제 기념비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광장에 세워진 기념비와 분수, 서해바다를 볼 수 있는 조망대가 잘 이루어져 있다.

 

 

갯바위 낚시 포인트

장자도 선착장 부근 갯바위

 

 

장자도 연육교 부근

 

 

선유도해수욕장 앞 갯바위

 

 

선유도 북도 방파제

 

 

선유도 북도 동쪽 갯바위

 

 

선유도 남도 바지선창

 

 

선유도 남도 방파제

 

 

선유도 남도 갯바위

 

 

무녀도 남들포인트

 

 

무녀도 선착장

 

 

무녀도 구마을 백사장 부근

 

 

신시도 북단 곶부리

 

 

신시도 남단 간출여 부근

 

 

이 글은 국립해양조사원의 요트/낚시정보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http://www.khoa.go.kr/)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51(동삼동 1125-38) Tel. 051-400-4400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1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1주 ago

직결매듭법-FG노트

FG노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아무리 쉬운 방법이라고 해도 숙달되기까지에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흰…

1주 ago

스윔베이트의 관절 수는 몇 개가 가장 좋을까?

배스낚시에서 사용하는 루어의 움직임이 얼마나 진짜 미끼와 닮았는지 하는 것은 루어를 만드는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이를…

2주 ago

알을 밴 포란상태의 무늬오징어를 확인하는 방법

대물 무늬오징어를 노릴 수 있는 봄철은 많은 에깅낚시인들의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