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신시도 부근의 주요 어종은 넙치, 노래미, 농어, 도다리, 삼치, 양태, 우럭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원투낚시는 미꾸라지, 오징어살, 전갱이,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크릴, 홍갯지렁이 등을 사용한다. 이 지역은 최근 농어의 조황이 굉장히 좋아 농어 공략 낚시채비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자전거 및 스쿠터 대여점이 많고 연도교가 있어 선유–장자–무녀도 간의 이동이 편리하다.
※ 새만금 방조제는 06:00시~19:00시까지만 통행이 가능하므로 신시도 진입 시 주의하여야 하며 선유도 북도 동쪽, 무녀도 홍여 부근, 신시도 남단 간출여 부근, 신시도 북단 곶부리의 갯바위 포인트는 진입이 어렵고 갯바위가 협소하므로 초보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기상
안개가 자주 발생하고 특히 겨울철에는 대륙성고기압이 확장할 때는 돌풍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조류
고군산군도 해역은 섬들이 많이 흩어져 있어 조류현상도 여러 갈래의 항로를 따라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등 매우 복잡한 현상으로 지형세를 따라 흐르지만 대체로 창조류는 북동류, 낙조류는 남서류하며, 최강 창/낙조류는 약 2.6kn 내외이다.
계절별 주요 대상어종 및 평균수온
봄 평균수온 표층:13.9°C / 저층:10.6°C 넙치, 도다리, 노래미, 붕장어, 양태, 우럭
여름 평균수온 표층:24.5°C / 저층:24.0° 넙치, 도다리, 노래미, 붕장어, 농어, 양태, 우럭
가을 평균수온 표층:12.3°C / 저층:12.1° 넙치, 노래미, 도다리, 농어, 붕장어, 삼치, 우럭
겨울 평균수온 표층:4.3°C / 저층:4.5°C 노래미
대상어 및 낚시채비
▶넙치 – 루어, 원투
▶노래미 – 루어, 릴찌, 장대, 원투
▶농어 – 루어, 릴찌
▶붕장어 – 원투
▶우럭 – 릴찌, 원투
숙박정보
선유민박(선유도) 063) 465-7275 다정민박(선유도) 063) 465-4944
명사십리펜션민박(선유도) 010-9146-0309 장자도민박(장자도) 063) 465-2643
장자도바위섬펜션(장자도) 063) 466-8005 바다풍경(장자도) 010-2296-2435
무녀도민박(무녀도) 063) 466-0666 황제민박(무녀도) 063) 465-7054
성수민박(무녀도) 063) 456-6310 황토펜션(신시도) 063) 463-5311
우성식당민박(신시도) 063) 466-7399 은성민박(신시도) 063) 461-3416
주변 관광정보
•망주봉(선유도) – 선유도의 상징인 망주봉은 거대한 바위산으로 여름철 소나기가 내리고 나면 망주봉의 두 봉오리에서 흘러 내리는 빗물이 장관을 이룬다.
•선유도해수욕장(선유도) – 선유도 진말과 망주봉을 잇는 해수욕장으로 밀물 때면 앞뒤로 물이 들어와 폭 6~7m의 기다란 모래둑만 남는 모습이 경이롭다.
•모감주나무군락지(무녀도) – 비누대용이나 염주의 주재료가 되어 금강자라고도 불리는 모감주나무는 세계적으로 희귀종이며 해안과 인접한 곳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새만금방조제 기념비 –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광장에 세워진 기념비와 분수, 서해바다를 볼 수 있는 조망대가 잘 이루어져 있다.
갯바위 낚시 포인트
장자도 선착장 부근 갯바위
장자도 연육교 부근
선유도해수욕장 앞 갯바위
선유도 북도 방파제
선유도 북도 동쪽 갯바위
선유도 남도 바지선창
선유도 남도 방파제
선유도 남도 갯바위
무녀도 남들포인트
무녀도 선착장
무녀도 구마을 백사장 부근
신시도 북단 곶부리
신시도 남단 간출여 부근
이 글은 국립해양조사원의 요트/낚시정보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http://www.khoa.go.kr/)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51(동삼동 1125-38) Tel. 051-400-4400 |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