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프루어 채비-플로팅 미노우의 장단점
서프루어로 광어를 잡기 위한 채비는 크게 미노우, 바이브레이션, 메탈 지그, 그리고 웜을 꼽을 수 있으며 저마다 각각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포탈에 넘쳐나기에 생략키로 하고 오늘은 첫 번째 순서로 플로팅 미노우의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프루어로 광어를 잡은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흔히 범하는 오류 중의 하나가 광어는 모래바닥에 몸을 숨기고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주된 서식장소가 모래로 된 곳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많은 개체수가 있는 곳은 모래바닥보다는 수중여나 암초가 발달된 주변이며, 그곳에는 먹잇감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어를 노릴 때에는 싱킹 미노우보다는 플로팅 미노우가 밑걸림이 덜해서 조금 낫다고 하겠습니다.
플로팅 미노우의 경우에는 제품에 표기된 일정 깊이의 수심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수중에 암초 등의 장애물에 의한 밑걸림에서 다소 자유로우며 광어의 활성도가 높을 때에는 수면 가까이 까지 단숨에 도약하는 광어의 습성 때문에 광범위한 범위의 공략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본 것처럼 광어를 잡기 위한 루어의 액션은 바닥에서 1m이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며 이상적인 거리는 50cm 정도입니다. 따라서 경력이 적어서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미노우가 얼마의 수심에서 움직이고 있는지를 모를 경우에는 제품에 표기된 깊이를 참고하여 바다의 수심에 따라 달리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포인트의 수심이 3m일 경우에는 잠영깊이 2m 전후의 미노우를 사용하고 수심이 2m라면 잠영깊이가 1m인 플로팅 미노우를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플로팅 미노우는 수심이 얕은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운용이 가능하기에 릴링의 속도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로서는 싱킹 미노우를 사용하면 자칫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는 수면 위로 떠오를 수도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플로팅 미노우를 사용할 경우에는 비거리가 싱킹에 비해 줄고 바람과 파도에 약하며 물색이 혼탁할 때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플로팅 미노우는 물에 뜨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가볍기 때문에 바람과 파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파도에 휩쓸리면 자유로운 액션의 연출이 어렵게 됩니다. 또한 물색이 흐린 경우에는 수면 근처를 움직이는 미노우가 바닥에 있는 광어의 눈에 띠지 않기 때문에 잡기가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파도가 높고 물색이 흐릴 때에는 중층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싱킹 미노우가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는 싱킹에 비해서 플로팅 미노우가 액션이 크기 때문에 플로팅 미노우의 사용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바람과 파도가 강하고 물색이 흐릴 때 서프루어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로서는 파동이 큰 것으로 교환하거나 색상이 화려한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기술이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