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계

북한의 수산물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북한의 수산물 생산량은 가장 활발할 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부족한 원유난과 장비의 노후화에 기안한 바가 크다고 하겠는데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의 수산물 생산 통계를 알아보자.


  

연도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985년
740,000
744,900
1,484,900
1986년
773,000
855,100
1,628,100
1987년
954,000
1,080,000
2,034,000
1988년
732,000
1,090,000
1,822,000
1989년
767,000
1,200,000
1,967,000
1990년
478,000
900,000
1,378,000
1991년
377,000
950,000
1,327,000
1992년
363,000
1,100,000
1,463,000
1993년
397,398
1,130,000
1,527,398
1994년
371,961
817,039
1,189,000
1995년
327,083
738,317
1,065,400
1996년
253,125
782,475
1,035,600
1997년
236,462
489,321
725,783
1998년
228,000
481,500
709,500
1999년
220,000
481,500
701,500
2000년
212,850
467,700
680,550
2001년
206,500
508,095
714,595
2002년
205,000
508,095
713,095
2003년
205,000
508,095
713,095
2004년
205,000
508,105
713,105
2005년
205,000
508,175
713,175
2006년
205,000
508,180
713,180
2007년
205,000
508,250
713,250
2008년
205,000
508,550
713,550
2009년
207,000
508,660
715,660
2010년
217,500
509,785
727,285
2011년
219,000
509,800
728,800
2012년
213,500
510,610
724,110
2013년
209,000
511,675
720,675
2014년
226,000
567,545
793,545
2015년
220,000
567,750
787,750
2016년
209,000
619,750
828,750
2017년
208,700
625,060
833,760
2018년
207,700
679,060
886,760
2019년
205,200
679,560
884,760
2020년
202,000
680,300
882,300
2021년
208,070
680,560
888,630

낚만 지월

Recent Posts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1주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2주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3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3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4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