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도구

바칸이란 낚시용품의 이름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오늘은 낚시인이라면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바칸이란 낚시용품의 어원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이며, 이와 유사한 삐꾸 또는 삐꾸통이란 낚시용품의 어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바칸이란 말은 일본 제국주의 시절 일본해군들이 사용하던 반합에서 유래한 것이란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일본에서는 바칸(バッカン)을 한자로는 飯:밥반 缶:두레박관 자를 사용하거나 드물게는 麦(보리맥) 缶(두레박관)을 사용하여 표기하기도 합니다.

반관(飯缶)은 밥을 담는 깡통이란 의미고 맥관(麦缶)은 당시 일본해군들이 주로 보리밥을 먹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현재 일본의 자위대에서도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그 유래가 어떤 것이건 간에 바칸이란 용어보다는 밑밥통이란 표현을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한편 낚시용품 중에서 잡은 물고기를 보관하는 살림망을 삐꾸 또는 삐꾸통이라고 부르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고, 고향이 부산인 저도 어린 시절 선친을 따라 낚시를 다니면서 삐꾸란 말을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살림망보다는 밑밥통이란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용어 역시 일본어로써 한자로는 어롱(魚籠) 또는 어람(魚籃)으로 적고 비쿠(びく)라고 읽습니다.

비쿠의 소재로는 대나무나 등나무를 엮어서 만들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그물의 형태로 된 것도 있는데 일본 고유의 비쿠는 사각형의 것이 주종이라고 합니다.

국어사전에서 어롱과 어람을 찾아보면 물고기를 담는 데 쓰는 바구니라고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확하지 않은 일본어 발음인 삐꾸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살림통이라거나 밑밥통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국어사전에서는 어롱 또는 어람이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우리 선조들께서는 어롱보다는 어람이란 표현을 즐겨 사용하셨던 것으로 보입니다.

어롱이란 표현은 고려말 이곡(李穀)이 쓴 가정집(稼亭集)이나 이색(李穡)이 쓴 목은집(牧隱集)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이로(李魯)가 쓴 송암집(松巖集) 등 많은 문헌에 등장하는데, 모두가 중국 서진시대의 반악(潘岳)이 쓴 추흥부(秋興賦)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 구절은 비유지어롱조(譬猶池魚籠鳥), 유강호산수지사(有江湖山藪之思)로 해석하면 “비유컨대 연못 속의 물고기와 새장 속의 새가 강호와 산림을 생각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반악이 벼슬살이를 하면서 세상살이에 속박되어 자유롭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어롱(魚籠)은 물고기를 담는 바구니란 뜻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연못(池)에 사는 물고기(魚)와 새장 속의 새를 뜻하는 농조(籠鳥)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 어람(魚籃)이란 표현은 고려후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어람수득두다소(魚籃數得頭多少)라고 하여 ‘물고기를 담는 바구니엔 크고 작은 물고기가 들어있다.’고 적혀있고, 조선후기 문신 박규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환재집(瓛齋集)을 보면 서비소각(西碑所刻) 내류관음변상(乃類觀音變相) 수제이남능(手提魚籃而行)이라고 하여 ‘서쪽 비석에 새겨진 것은 관음변상의 한 종류로 손에 물고기 바구니를 들고 가는 모습이다.’라고 적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우리 선조들은 어롱보다는 어람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것이죠.

선조들이 사용하시던 어람이란 말보다 올바르지도 않은 일본어 삐꾸를 사용하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의견을 끝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꽂기식 로드의 연결 방법: 병계식, 역병계식, 인롱계식의 차이

먼저 병계(並継), 역병계(逆並継), 인롱계(印籠継)를 하나씩 알아보면 동양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아우르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기에…

4일 ago

조어대전 제21장: 낚시도구를 만드는 방법(번역 완)

낚시꾼: 벌레와 작은 물고기, 강과 연못에 대해서 너무 오래 얘길 한 것 같습니다. 저도 많이…

4일 ago

여름철 무늬오징어 낚시

무늬오징어 낚시는 봄과 가을이 베스트 시즌이라고들 합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늦여름까지 어린 무늬오징어가 출생하고 가을에는 경계심이…

1주 ago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의 종류와 특징

농어루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어종을 공략하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루어의 종류로써, 바이브레이션이란…

2주 ago

홋카이도에는 가리비 껍질로 만든 하얀 길이 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따끈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찜을 비롯하여 꼬막에 굴요리까지 맛있는 안주들이 술을 부르는…

2주 ago

마루큐의 원투낚시용 염장 파우더 시오이카고로는 효과가 있을까?

오늘은 구독자분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렸으나 조금 부족한 듯하여 일본 마루큐에서 만드는 파우더제품 중 시오이카고로에…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