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패류상식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

감성돔을 원투낚시로 잡기 위한 채비와 포인트 등에 관하여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감성돔의 크기가 얼마면 몇 년 정도 된 것이다”는 말을 듣고 그것은 개체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지역에 따라 다를 수도 있어서 비교적 정확하게 감성돔의 나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학계에서도 인정받은 비늘의 나이테를 보고 연령을 측정할 수 있다는 내용의 감성돔의 연령측정 방법이란 글을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여러 차례 받은 질문이 “다른 어종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해도 되는지?” 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이번의 포스팅 이후에 낚시를 오래도록 한 분들도 의외로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모르는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이석(耳石)이라고 하는 뼈를 이용하는 방법과, 두 번째는 물고기의 비늘에 있는 무늬(나이테)를 보고서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물고기의 이석으로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

이석을 보고서 판단하는 방법은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극히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들로서는 할 수가 없는 방법입니다.

물고기의 이석이라고 하는 것은 물고기의 머리뼈 안에 좌우로 있는 뼈를 말하는데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물고기가 성장함에 따라 육안으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아주 작은 고리가 매일 생긴다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태어난 지 31일 되는 은어의 이석인데 채취한 은어의 크기는 2cm이고 이석의 크기는 0.2mm였다고 하니 얼마나 측정하기가 어려운가를 짐작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석을 보고서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요리를 한 물고기의 경우에도 연령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습니다^^

 

▶ 물고기 비늘의 나이테로 측정하는 방법

물고기의 비늘에 있는 무늬, 즉 나이테를 보고서 나이를 측정하는 것은 일반인들도 그리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모든 어종이 비늘의 나이테로 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원형비늘과 빗비늘을 가진 어종들만 비늘을 보고서 나이를 측정할 수가 있습니다.

 

어류는 크게 비늘이 있는 종류와 비늘이 없는 종류로 구분할 수가 있고, 비늘이 있는 종류도 비늘의 형상에 따라서 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비늘의 나이테를 보고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원형과, 빗비늘 2가지뿐이지만 이번 기회에 물고기의 비늘의 종류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방패비늘(楯鱗)

상어와 가오리 같은 연골어류와 경골어류의 일부가 가지고 있는 비늘로서 구조와 생성이 이빨과 동일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뼈비늘(骨鱗)

광어와 장어와 같은 대부분의 어종이 가지고 있는 비늘

· 둥근비늘(圓鱗)

잉어와 같은 하등 경골어류가 지닌 비늘로써 그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빗비늘(櫛鱗)

빗비늘을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농어, 숭어, 능성어, 도미 등 대부분 경골어류가 지닌 비늘. 형태는 둥근비늘과 마찬가지로 다양하지만 몸 바깥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를 갖는 것이 특징”이라고 나옵니다.

· 모비늘(稜鱗)

전어, 준치의 배 가장자리와 전갱이의 꼬리 측선 위를 따라 발달하는 날카로운 비늘로써 마름비늘이라고도 부릅니다.

이상으로 살펴본 물고기의 비늘 중에서 특히 둥근비늘과 빗비늘은 사람의 지문과 같이 비늘의 무늬 즉 인문(鱗紋)을 가지고 있으며 인문이 가지고 있는 나이테로는 나이를 측정할 수 있지만, 비늘에 있는 융기선으로는 어종의 분류도 가능하다고 하니 물고기의 인문은 사람의 지문과 흡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낚시를 하면서 일반적으로 자주 접하는 어종의 대부분은 비늘의 형상이 둥근비늘과, 빗비늘이므로 비늘을 보고서 나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고기의 비늘은 떨어져나가면서 다시 자라난 것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나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비늘의 손상이 적은 가슴지느러미 밑 부분의 비늘을 채취하여 측정하는 것이 좋으며 1개의 비늘보다는 다수의 비늘을 측정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5일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7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2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2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3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