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깅낚시

무늬오징어의 신경절단(시메) 방법에 따른 신선도의 차이

“무늬오징어의 신경절단(시메) 방법”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무늬오징어를 잡았을 때 하는 가장 일반적인 신경절단(시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로 먹을 경우에는 신경절단을 하는 방법에 따라서 선도와 무늬오징어의 색깔에 차이가 있으므로 신경절단을 하는 방법에 따라 나타나는 시간별 차이에 대하여 알아두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장 많이 하는 신경절단 방법 이외에 칼과 망치를 이용한 신경절단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그 차이를 그래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신경절단을 한 무늬오징어의 색깔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투명도가 떨어지면서 불투명한 흰 색을 나타내게 되고 무늬오징어의 트레이드마크라고도 할 수 있는 눈 주위의 에메랄드 색깔도 점점 사라지게 됩니다.

살아있는 무늬오징어는 색소포라고 불리는 세포를 축소하거나 확대시켜 몸의 색깔을 변화시켜 개체간의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무늬오징어를 잡으면 사진 A와 같이 짙은 색상을 하고 있지만 신경절단(B: 칼을 이용한 신경절단, C: 망치를 이용한 신경절단, D: 일반적인 신경절단)을 하게 되면 색소세포를 제어할 수 없게 되어 투명하게 변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3가지의 신경절단 방법은 각기 절단하는 부위가 조금씩 다른데, 칼을 이용할 때에는 물론 일반적으로 하는 신경절단의 방법과 같이 하여도 되지만 통상적으로는 무늬오징어의 몸통과 머리의 경계부분을 절단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으로 신경절단을 할 때에는 뇌를 직접 찔러 절단하게 되는 것이며, 망치로 신경절단을 하는 것은 뇌에 충격을 주어 신경을 절단하게 되는 것인데, 가장 손쉬운 방법은 망치를 이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치를 이용한 신경절단

 

각각의 신경절단 방법과 신경절단을 하지 않고 방치한 무늬오징어의 색깔이 희게 변하는 백화현상은 방치한 무늬오징어는 6시간이 지나면 투명감이 사라지는데 비하여 신경절단을 한 것은 12시간이 경과해도 투명감이 지속됨을 볼 수가 있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칼과 망치를 이용했을 때보다 백화현상이 빨리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또한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지만, 무늬오징어를 포함한 오징어는 신경절단을 하게 되면 상처가 나는 부위에서 투명한 하늘색의 피가 출혈되는데 망치로 신경절단을 하게 되면 출혈의 양이 가장 적습니다. 따라서 많은 수의 무늬오징어를 잡았을 때에는 신경절단의 효율성과 선도관리라는 양면에서 망치를 이용하여 신경절단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고래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feat. 아바타: 물의 길)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인 ‘아바타: 물의 길’이 일본에서 개봉되기 전 마련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진행된…

1일 ago

여름철 밤낚시의 필수품, 모기기피제

여름철 밤낚시는 모기와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심한 모기들의 극성을 견뎌야 합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바르거나…

4일 ago

조어대전 제19장: 강과 물고기에 대한 관찰

낚시꾼: 날씨도 좋고, 길도 좋습니다. 아직 토트넘의 십자가가 보이려면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 당신이 원하는…

4일 ago

원투낚시용 릴의 드랙력은 얼마가 적당할까?

원투낚시에 입문하는 분들은 장비의 선택에 있어 많은 애로를 겪는데 그중에는 사용할 릴의 드랙력은 어느 정도가…

7일 ago

고산 윤선도에게 배우는 낚시터의 예절

지난 주말 모처럼 밤낚시를 즐기고 왔다. 예보와는 달리 바람도 그리 세게 불지는 않아 조용한 시간을…

7일 ago

배스는 웜을 무엇으로 생각할까?

사용하는 루어의 크기와 모양 및 색깔이 물고기의 실제 먹이와 비슷할수록 입질 확률이 높다는 것은 낚시인들의…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