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깅낚시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관한 논문(파일첨부)

최근 들어 특히 일부 로드의 품귀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을 보니 무늬오징어 낚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난 것이 피부로 와닿는다.

블로그를 통해서 전달하는 정보에 있어서 데이타를 예시하는 경우에는 그 출처를 명기하여 객관성을 담보하려 노력하고 있는데 오늘은 이전에 “무늬오징어의 시력(視力)”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 ~ 0.7로 알려져 있는데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일본의 미에대학(三重大学) 연구소에서 2007년 발표한 논문을 보면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3이며 날개오징어는 무려 1.37이라고 합니다.”라는 내용의 근거가 되었던 논문을 설명드릴까 한다.

해당논문의 제목은 일어로는 ‘イカの視覚に関する基礎的研究“이며 번역하면 ‘오징어의 시각에 관한 기초적연구’이며 사본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받으면 볼 수 있다.

https://mie-u.repo.nii.ac.jp/record/10325/files/2006B044.pdf

 

이 논문은 일본 미에대학(三重大学)에서 생물자원학을 전공했던 마키노 아키히토(牧野朗彦)라는 사람이 석사과정을 마칠 때 작성한 것이며 논문에서도 인용하고 있는 것처럼 1958년 미국의 Hubbard and George가 발표한 아메리카창꼴뚜기의 흡수파장에 관한 연구논문(Pigment Migration and Adaptation in the Eye of the Squid, Loligo pealei)에서 발표한 것처럼 무늬오징어를 포함한 오징어의 흡수파장은 490나노미터(nm)정도이며 오징어가 빛에 대해 반응하는 능력이 있으며 특히 편광을 식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은 1960년에 논문으로 발표되었다는 것을 이 논문의 인용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논문의 대부분은 실험의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잘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고 이해하기도 어려워 낚시인들에게는 그리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55페이지에 수록된 표 3. 6종류의 오징어의 시세포핵수와 시정도등의 비교는 낚시인들에게 필요한 정보로 판단되며 특히 그림에서 표시된 무늬오징어의 시축(視軸)이 아래를 향하고 있다는 것은 에깅낚시에서 폴 동작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특별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겠으나 한글로 번역한 표를 아래에 게기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란다.

구분
무늬오징어
창골뚜기
살오징어
스지이카
날개오징어
귀오징어
최대시세포
핵수(cells/㎟)
32,080
데이타없음
48,840
79,600
44,800
28,640
최소시세포
핵수(cells/㎟)
11,920
데이타없음
18,320
42,080
23,600
17,840
렌즈직경(㎜)
9.57
7.43
8.52
8.63
17.28
5.07
시정도
(초점거리2.55)
0.63
데이타없음
0.64
0.90
1.37
0.32
시정도
(초점거리2.27)
0.57
데이타없음
0.57
0.80
1.21
0.28

낚만 지월

Recent Posts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구별법

요즘 심심찮게 받는 질문 중의 하나는 잡은 물고기가 노래미인지 쥐노래미인지를 묻는 것입니다. 우선은 잡아서는 안 되는…

3일 ago

프롭베이트의 챔질에 실패하는 이유

  스위셔(Swisher)라고도 하는 톱워터 플러그인 프롭베이트는 프로펠러의 유형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펠러가 하나만…

4일 ago

낚싯대의 블랭크에 대하여

  로드의 제작은 우선 카본 원단을 재단하여 심에 감아 테이핑 한 후 가열하고 심을 빼내는…

2주 ago

시마노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마노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를 한…

2주 ago

한국시장이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낚시용품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다이와의 이름은 정확하게는 글로브라이드 주식회사(GLOBERIDE, Inc)이며 다양한 사업분야 중에서…

2주 ago

물고기를 못 잡으면 죽을 수도 있었다.

개인적으로 탐구를 계속하고 있는 한국 바다낚시의 역사에 대하여 올해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