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어의 플러싱(flushing) 효과

루어의 플러싱(flushing) 효과

루어낚시에서 리액션 바이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는 저크와 트위치를 들 수 있는데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리트리브와 함께 플러싱 효과를 꼽을 수 있습니다.

플러싱 효과란 “flushing”이란 영어단어가 뜻하는 그대로 빛이 반짝이는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하는데 동물원의 사육사들이 맹수가 있는 우리에 들어갈 때는 맹수의 본능을 자극할 우려가 있어서 빛이 나는 액세서리를 착용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맹수가 어둠 속에서 먹잇감의 빛나는 눈동자에 반응하여 공격성을 보이는 것과 같이 육식성 어종을 잡을 때 사용하는 루어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루어의 플러싱 효과라고 합니다. 그러나 루어자체가 빛을 내는 것은 엄밀히 따지면 플러싱 효과라고는 할 수 없고 반사광을 이용하여 빛을 내는 것을 플러싱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러싱 효과를 내는 대표적인 루어로는 스핀테일지그를 들 수 있는데 단순히 릴을 감는 리트리브만으로도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반짝이고, 리트리브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빛을 내는 간격도 조절할 수가 있어서 데이게임의 주력 루어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물론 미노우나 펜슬베이트 등도 롤링계열은 쉽게 플러싱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만 단지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것만이 플러싱 효과의 모든 것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물론 사전적인 정의로는 “빛을 내는 효과”가 플러싱 효과지만 낚시인들에게는 플러싱 효과에 더하여 소리나 진동을 일으키는 플러스 알파가 더해진 것이 정확한 “플러싱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빛을 반사하는 것에 더하여 후크와 분할링은 약하지만 소리를 내고 또한 진동도 일으키는데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는 공기 중에서는 소리가 1초에 340미터를 가지만 수중에서는 1초에 1.49㎞를 가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보다 더 강하고 멀리 전달되는 것이어서 단순히 빛이 반사되는 효과만으로는 멀리 떨어진 대상어종을 잡기가 어렵지만 여기에 더하여 소리와 진동이 더해져 대상어종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플러싱(flushing) 효과”의 정확한 개념은 반사되는 빛에 더하여 소리와 진동도 포함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런 플러싱 효과를 이용하여 리액션 바이트를 유도하는 기본적인 동작은 수심 깊은 곳에서 수면까지 단숨에 움직이는 것입니다. 특히 농어루어에서는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보다는 아래위로 움직여주는 것이 훨씬 반응이 뛰어나고, 특히 물색이 탁할 때에는 자연계 색상이나 실버색상보다는 골드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으며 넓은 포인트에서 공략할 때에는 블레이드가 있는 스핀테일지그가 좋고 핀포인트에서는 골드나 실버 계열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스피너베이트도 효과적입니다.

중요한 점은 리액션 바이트를 유도하는 기본인 높낮이를 달리 하여 공략하는 방법, 즉 바닥에서 수면까지 단숨에 움직이는(저크든 리트리브든) 것이 플러싱 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동일한 포인트에서 오래도록 공략하는 경우에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은 당연한 일이란 것도 함께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