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 릴

다이와 스피닝 릴 스풀 호환표와 보는 방법

한국다이와의 홈페이지에는 아래와 같이 릴의 종류 별로 호환이 되는 스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조금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오늘은 일본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이와 스피닝 릴의 호환에 대하여 알아볼까 한다.

우선 아래에 첨부하는 다이와의 호환표는 1번은 LT릴이 나오기 이전의 호환표이고, 2번은 LT릴이 발매된 이후의 호환표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낚시인들이 사용하기에는 1번이 더 유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드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 받아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우선 다이와의 스풀호환표를 보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가 보유한 릴의 기종을 좌측에서 선택한 다음 우측으로 이동하여 ○, ●, ◎를 찾은 후 위에 있는 RCS스풀을 찾는 방법으로 호환이 되는 스풀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RCS(Real Custom System)스풀이라고 하는 맞춤형 스풀은 가격이 만만치 않아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이 포스팅은 RCS스풀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이와가 제공하는 RCS스풀의 호환표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순정스풀을 어떻게 호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자는 것이 오늘 얘기의 핵심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16세르테이트를 예로 들어서 알아보면 먼저 본인이 가진 릴이 16세르테이트 1003이나 2004CH, 2004 중의 하나라고 한다면 빨간색 네모 안에서 ○, ●, ◎를 찾고 그 위에 있는 RCS스풀을 찾도록 한다.

※ 모델명 뒤에 있는 ゴールド와 レッド는 골드와 레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의 그림에서 1503, 2004에어Ⅱ, 2004, 2006PE가 일치하는 것으로 볼 때 이것은 16세르테이트의 1003번 릴에 1503 뿐만 아니라 2000번대의 RCS스풀을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다시 말해서 16세르테이트 1003번에 2004번의 순정스풀을 장착할 수 있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16세르테이트 2500, 2506H, 2508PE, 2510PE-H, 2510R-PE의 경우에는 상단의 RCS스풀의 종류가 2506, 2508, 2500이 있는데 이것은 16세르테이트의 2506, 2508, 2500번 릴에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 말은 16세르테이트의 2500번대에는 권사량이나 드랙력이 다른 여러 종류의 RCS스풀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신이 지금 2506번 릴을 사용하고 있으나 권사량과 드랙력을 높이고 싶다면 2510PE-H 순정스풀로 교환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번에는 반대로 본인이 지금 16세르테이트 2510PE-H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2510PE-H는 합사(PE) 1.5호를 150미터 감을 수 있는 권사량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0.8호가 150미터 감기는 스풀로 교환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508PE 순정스풀을 장착하면 바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처음으로 돌아가서 한국다이와의 홈페이지에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호환표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스풀크기가 같다면 1003번에서는 이그지스트와 세르테이트 및 루비아스의 스풀은 서로 호환이 되며 1500번과 2000크기에서는 그보다 많은 기종들과 서로 호환이 된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연식에 따라 호환이 되지 않는 것들도 있고 새롭게 LT개념의 릴들이 출시됨으로 인해서 다이와의 스풀호환성은 이전보다는 떨어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환표를 보면 2510PE-H에는 2500, 2506, 2506H, 2508PE, 2510R-PE 등의 순정스풀을 장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실제 2510PE-H의 스풀을 2500순정스풀로 교환하면 문제없이 호환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많은 분들에게는 그다지 큰 필요성이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다이와가 제공하는 RCS스풀 호환표를 보고서 순정스풀의 호환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1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1주 ago

직결매듭법-FG노트

FG노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아무리 쉬운 방법이라고 해도 숙달되기까지에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흰…

1주 ago

스윔베이트의 관절 수는 몇 개가 가장 좋을까?

배스낚시에서 사용하는 루어의 움직임이 얼마나 진짜 미끼와 닮았는지 하는 것은 루어를 만드는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이를…

1주 ago

알을 밴 포란상태의 무늬오징어를 확인하는 방법

대물 무늬오징어를 노릴 수 있는 봄철은 많은 에깅낚시인들의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