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꽃게잡이가 시작되면 또다시 중국어선들의 불법 조업 문제가 뉴스에 오르내릴 것이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기승을 부리는 중국어선들의 불법 어로행위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건만 근절되지 않는 것을 보면 착잡하기도 하고 분노가 치밀기도 한다.
꽃게 어획량이 가장 크게 감소했던 2019년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11,250톤의 꽃게 어획고를 올렸으나 역으로 중국산 냉동꽃게의 수입은 우리 어획량의 2배를 넘는 23,034톤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해이기도 했다.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냉동꽃게가 모두 중국산은 아니지만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의 평균을 보면 물량기준으로 95%가 넘으며 특히 작년 2023년에는 전체 수입량의 98.6%를 중국산이 차지했고, 금액기준으로는 96.5%가 넘었다.
꽃게 자원의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를 포획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꽃게의 체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를 제작해서 배포하기도 하고 어민들의 자발적 노력도 뒤따르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선의 싹쓸이 불법조업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꽃게의 어획량은 감소세를 면키는 어려울 것이다.
구분 | 중국산 | 기타 국가 | 합계 | |||
중량(톤) | 수입액(억 원) | 중량(톤) | 수입액(억 원) | 중량(톤) | 수입액(억 원) | |
2012년 | 10,176.5 | 441.4 | 2,935.9 | 135.6 | 13,112.4 | 576.9 |
2013년 | 11,625.7 | 399.2 | 3,680.9 | 193.4 | 15,306.6 | 592.6 |
2014년 | 13,508.2 | 436.9 | 2,660.4 | 150.8 | 16,168.6 | 587.7 |
2015년 | 19,910.1 | 711.7 | 2,581.2 | 181.5 | 22,491.3 | 893.3 |
2016년 | 17,909.4 | 721.1 | 2,936.7 | 168.9 | 20,846.1 | 890.0 |
2017년 | 16,275.9 | 615.5 | 2,854.7 | 164.7 | 19,130.6 | 780.2 |
2018년 | 20,004.3 | 956.8 | 3,596.8 | 199.1 | 23,601.1 | 1,155.8 |
2019년 | 23,034.2 | 1,057.5 | 3,286.8 | 169.9 | 26,321.0 | 1,227.4 |
2020년 | 18,973.5 | 882.1 | 1,742.1 | 108.6 | 20,715.6 | 990.6 |
2021년 | 16,412.7 | 792.6 | 694.1 | 47.1 | 17,106.8 | 839.7 |
2022년 | 12,473.0 | 525.7 | 394.6 | 35.8 | 12,867.6 | 561.5 |
2023년 | 12,580.0 | 495.0 | 174.2 | 18.1 | 12,754.2 | 513.1 |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