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냉동꽃게의 수입통계와 중국산 냉동꽃게의 수입통계

봄철 꽃게잡이가 시작되면 또다시 중국어선들의 불법 조업 문제가 뉴스에 오르내릴 것이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기승을 부리는 중국어선들의 불법 어로행위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건만 근절되지 않는 것을 보면 착잡하기도 하고 분노가 치밀기도 한다.

꽃게 어획량이 가장 크게 감소했던 2019년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11,250톤의 꽃게 어획고를 올렸으나 역으로 중국산 냉동꽃게의 수입은 우리 어획량의 2배를 넘는 23,034톤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해이기도 했다.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냉동꽃게가 모두 중국산은 아니지만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의 평균을 보면 물량기준으로 95%가 넘으며 특히 작년 2023년에는 전체 수입량의 98.6%를 중국산이 차지했고, 금액기준으로는 96.5%가 넘었다.

꽃게 자원의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를 포획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꽃게의 체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를 제작해서 배포하기도 하고 어민들의 자발적 노력도 뒤따르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선의 싹쓸이 불법조업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꽃게의 어획량은 감소세를 면키는 어려울 것이다.

 

 

구분
중국산
기타 국가
합계
중량(톤)
수입액(억 원)
중량(톤)
수입액(억 원)
중량(톤)
수입액(억 원)
2012년
10,176.5
441.4
2,935.9
135.6
13,112.4
576.9
2013년
11,625.7
399.2
3,680.9
193.4
15,306.6
592.6
2014년
13,508.2
436.9
2,660.4
150.8
16,168.6
587.7
2015년
19,910.1
711.7
2,581.2
181.5
22,491.3
893.3
2016년
17,909.4
721.1
2,936.7
168.9
20,846.1
890.0
2017년
16,275.9
615.5
2,854.7
164.7
19,130.6
780.2
2018년
20,004.3
956.8
3,596.8
199.1
23,601.1
1,155.8
2019년
23,034.2
1,057.5
3,286.8
169.9
26,321.0
1,227.4
2020년
18,973.5
882.1
1,742.1
108.6
20,715.6
990.6
2021년
16,412.7
792.6
694.1
47.1
17,106.8
839.7
2022년
12,473.0
525.7
394.6
35.8
12,867.6
561.5
2023년
12,580.0
495.0
174.2
18.1
12,754.2
513.1

 

낚만 지월

Recent Posts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3주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4주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1개월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1개월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1개월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