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로카본 또는 플루오르카본(Fluoro Carbon)이라고 부르거나 줄여서 카본줄이라고 부르는 것은 낚시인들이라면 낚싯줄의 한 종류라고 이해하지만 그렇지 않은 일반인들 중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주범인 프레온 가스(또는 프론이라고도 함)를 만드는 원료로도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 HFC(Hydro Fluoro Carbon): 염소를 포함하지 않고 수소를 포함한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물질
※ HCFC(Hydro Chloro Fluoro Carbon): 염소를 포함하지만, 수소가 있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 성질은 비교적 약한 물질
※ CFC(Chloro Fluoro Carbon): 염소를 포함해 오존층 파괴 성질이 강한 물질로 1995년 말 생산과 수입이 전면 금지되었다.
프레온가스의 원료와는 달리 플로로카본 라인(낚싯줄)의 원료가 되는 것은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이라고 하는 높은 내성을 가진 고순도의 열가소성 불소중합체의 하나인데 쉽게 말해서 불소수지의 일종으로 플라스틱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이런 PVDF는 반도체 제조공정에도 사용되고 우리의 주변에서는 水처리 과정에서 사용하는 멤브레인 필터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낚싯줄뿐만 아니라 현악기의 현으로도 만들고 파이프 및 시트, 플레이트 등을 만드는데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PVDF를 원료로 한 낚싯줄인 플로오르카본 라인은 1971년에 처음 생산되었으며 이것을 만든 업체는 플로오르라인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시거(SEAGUAR)’라는 브랜드를 만드는 일본의 쿠레하(クレハ)라고 하는 회사입니다.
쿠레하라는 회사는 2005년 쿠레하화학공업(呉羽化学工業)이라는 이름에서 사명을 변경하였는데 원래 낚싯줄을 개발하기 위해서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를 개발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하고 난 다음 전후 일본경제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가성소다를 생산하는 산업이 성황을 이루었는데 가성소다는 도금이나 종이, 비누의 원료로도 사용되는 중요한 것이었고 수요가 넘치는 것에 반해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염소를 처리하는 것이 기업의 입장에서는 아주 골치 아픈 문제였습니다.
이런 염소를 사용하여 개발된 염화비닐리덴수지는 미국에서 이미 생산되어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은 특성으로 인해 이미 2차대전 중에 미군들이 밀림에서 총알이나 화약을 습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싸매는 것에 사용되고 있었고 쿠레하공업은 자체 연구개발로 이것을 만드는데 성공하여 1953년에 처음으로 시장에 선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가장 처음으로 만든 제품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자외선에도 열화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한 정치망그물이었는데 쉽게 열화하지 않아서 제품의 교체주기가 길어지고 생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 실패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쿠레하공업이 시작한 것이 식품용 필름의 생산이었고 이 사업에 뛰어들면서부터 쿠레하공업은 급성장을 하게 되었는데 식품용 필름 중에서도 소세지를 포장할 때 사용하는 제품으로 크게 히트를 치게 됩니다.
그러나 아직 낚싯줄을 만들지는 않았고 당시 미국에서 일반가정에까지 보급되고 있던 식품용 포장랩에 주목하고는 연구개발을 거듭한 끝에 필름의 무취(無臭)에 성공하여 1960년에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포장랩과 같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랩인 ‘쿠레랩(クレラップ)’을 출시하기에 이르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일본에서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걸쳐 낚시붐이 크게 일어났는데 주로 은어낚시가 대부분이었던 관계로 당시의 언론기사를 보면 “강에는 사람들로 넘쳐 움직일 수조차 없다”고 표현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습니다.
이런 붐을 타고 쿠레하공업에서도 1971년에 염화비닐리덴수지를 사용한 낚싯줄을 생산·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세계최초의 플루오르카본 낚싯줄인 ‘시거(Seaguar)’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으로 시거가 출시될 때의 가격이 330엔이고 당시 1970년대 초의 엔화와 달러화 및 한국의 원화와 달러화의 환율이 거의 비슷하였기에 같다고 보면 당시의 화폐가치와 지금과는 대략 30여 배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니 현재가치로 환산한다면 10m의 낚싯줄이 9만원이나 한다는 계산이 나오게 됩니다.
그렇지만 낚시에 대한 경력이 오래 되었거나 나이가 있으신 분들은 기억하시는 1983년에 출시된 ‘시거 에이스’와 1996년에 출시된 ‘시거 그랜드 맥스’는 살 떨리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한번쯤은 사용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플루오르카본 라인은 많은 낚시인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특히 루어낚시의 쇼크리더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플루오르카본 라인의 재료인 폴리불화비닐리덴은 화학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염분에 강한 특성은 가지고 있으나 그만큼 생태계에서는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인 공통관심사로 대두하고 있는 ‘해양 플라스틱’ 문제와는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도 플라스틱의 일종이기에 과연 정말로 분해되지 않아도 무해한 것인지, 아니면 버려져서 그대로 방치되는 것은 또 다른 환경피해, 예를 들면 버려진 플루오르라인으로 인한 동물들의 피해와 같은 문제는 간과하고 지나쳐도 되는 문제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낚시인들의 생각이 필요할 것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