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를 하다 사용하지 못하게 된 바늘을 함부로 버리면 자칫하면 누군가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고 부득이 밑걸림 등으로 인하여 자를 수밖에 없었던 목줄이라도 바늘이 달린 상태로 방치가 되면 동물들에게 주는 피해가 아주 크다.

아래 사진과 같이 낚싯줄에 걸리거나 바늘에 걸려 고통 받는 동물들의 모습을 우리는 가끔씩 목격하기도 한다.

이렇게 위험한 낚싯바늘의 폐기방법에 대해서는 안타깝지만 정해진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단지 재활용의 기준으로 볼 때 낚싯바늘은 불연성의 쓰레기로서 아래 구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캔류, 고철류

– 음료, 식료품캔, 분유통

– 부탄가스통, 에어졸통

– 스텐, 철사, 알미늄샷시

– 스텐, 양은그릇

그러나 이런 금속성의 불연성쓰레기라고 할지라도 낚싯바늘을 함부로 버리게 되면 작업을 하는 분들께 피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용기에 담아 “바늘”이라고 표기를 하거나 신문지 등으로 싸서 버려야 한다.

문의해본 바로는 지자체 별로 기준이 달라 정확한 내용을 기술할 수는 없으나 공통적인 사항은 재활용 쓰레기로 구분하여 안전하게 폐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럼, 함부로 폐기하면 위험한 낚싯바늘의 안전한 폐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빈 깡통에 넣어 “바늘”이라고 표기한 후 재활용 쓰레기로 버린다.

○ 뚜껑도 금속으로 된 음료수병에 담아서 반드시 뚜껑을 닫고 재활용 쓰레기로 버린다.

○ 참치캔 등에 담아서 버릴 경우에는 반드시 용기를 테이프 등으로 밀봉한 후 버린다.

○ 낚싯바늘의 미늘을 제거한 후 빈 깡통에 담아서 버린다.

○ 낚시점의 바늘 회수상자에 버린다.

이상과 같이 내가 버리는 낚싯바늘이 누군가에게, 혹은 자연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안전하게 폐기하는 실천을 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가을철 무늬오징어 낚시

본격적으로로 시작된 주꾸미 시즌을 맞아 근자에 사회적으로 약간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에 대해서 편한 마음은…

1일 ago

새우(대하)의 내장은 먹어도 될까?

태풍이 지나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옴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하(大蝦)가 제철을 맞는 시기가 되었다. 금년 여름, 많은…

1일 ago

좋은 낚시 포인트란 어떤 곳일까?

많은 낚시인들께서는 아마도 주말과 연휴를 이용하여 낚시를 다니는 분들이 대부분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여러분들은 어떤 낚시터가…

3주 ago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2개월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2개월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