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대

낚싯대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받는 질문 한 가지

오늘은 낚시와 관련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한 가지에 대하여 얘기해보려 합니다.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이름이 있거나 대형업체가 아닌 곳에서 만드는 낚싯대에 대하여 좋은지 나쁜지를 물어오시는 것입니다.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잘 모르며 그 질문은 해당업체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더 현명합니다.

그러나, 제작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질문에 대하여 영업상의 비밀이라거나 공개할 수 없는 노하우라는 등의 핑계를 대면서 정확한 답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죠.

그렇기 때문에 저는 낚시용품을 구매할 때는 얼마나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판단의 한 가지 기준으로 삼으라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아! 물론 현란한 뽀샵질을 동원한 미사여구를 나열한 것들은 제외하고 말입니다.

흔히들 로드를 설계한다고 할 때는 CAD를 이용하여 릴시트와 가이드를 어떻게 배치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나 영상을 홍보용으로 첨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로드의 설계는 카본시트를 어떻게 감고 몇 번이나 감으며 어떻게 재단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카본시트의 적층구조를 직접 설계하는 업체는 많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일부 업체들의 제품 중에는 기성품으로 나온 블랭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도 말한 것처럼 투자는 필요하지만 최첨단 하이테크 장비는 필요 없으며, 많은 직원은 필요하지만 원재료 기술분야의 연구개발은 필요 없는 분야라고 한다면 너무 과장된 것일지도 모르겠으나 전혀 틀린 말도 아닌 것이 바로 낚싯대를 만드는 분야입니다.

현재 낚싯대의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을 재료로 한 블랭크를 제작하는 기업들은 최첨단도 아니고 대규모의 산업도 아닌 가내수공업에 가까운 편입니다.

그것은 원재료로 사용되는 카본시트의 연구와 생산 및 개발과는 무관하게 단순히 구매하는 것으로부터 제작이 시작되기 때문이며 조금만 생각을 해보더라도 로드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카본 원단의 R&D에 투자할 리는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로드를 생산하는 업체의 분류는 통상적으로 자사소유의 가마를 보유한 업체와 가마는 없지만 열처리된 블랭크를 구입하여 제작하는 업체와 가마도 없고 빌딩도 하지 않지만 가마를 보유한 업체에 위탁하여 생산하는 업체로 구분합니다.

따라서 일본으로부터 카본원단을 수입하여 가마를 보유한 중국이나 제3국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한국으로 들여와 조립·가공하여 판매하는 제품이라면 과연 어떤 나라의 어떤 기술이 들어 있는 제품이라고 해야 하는 것이 타당할까요?

이런 형태로 생산되어 판매되는 제품이 존재하고 있어서 하는 말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면 로드의 제작은 사용하는 카본시트를 무엇으로 하고, 얼마나 가열하고, 어떻게 도장하는가에 따라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품질의 차이가 생기고 가이드 및 릴시트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후기들은 가이드는 얼마나 비싼 어떤 가이드이고 릴시트는 어떤 업체의 것이기 때문에 품질이 좋은 로드임을 알 수 있다는 식으로 본질과는 다른 내용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좋은 블랭크에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만 우수하다고 할 수 있지, 좋은 블랭크에 안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보통이고 안 좋은 블랭크에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졸작이며 안 좋은 블랭크에 안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실패작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엔 로드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각자의 뇌피셜을 벗어날 수 없다고 할 수 있으므로 서두에서 로드의 품질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업체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던 것입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의 문의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와 답변을 업체들이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럴 때 구입을 결정할 판단의 근거가 되는 질문 딱 하나만 해보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원투낚싯대의 릴 시트는 플레이트 타입과 파이프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플레이트 타입이 아닌 파이프 타입의 방식은 로드 블랭크와 릴시트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이것을 메우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바로 이것을 업체에 문의해보시면 된다는 것이죠.

사용하는 카본시트의 적층구조를 직접 설계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대부분 간격이 거의 없게 설계하기 때문에 접착제만으로 마감하지만 블랭크를 외부에서 조달하여 만드는 경우에는 실을 감아 접착하거나 종이로 된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흔히 사용하지만 더러는 청테이프로 간격을 메우고 접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청테이프를 사용한 낚싯대를 고온에 장시간 노출시키면 릴시트가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사용하지 않지만 지금 보시는 30만 원 중반의 가격으로 판매한 어떤 업체의 로드제작에 청테이프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업체의 홍보문구를 자세히 적지는 않지만 최고의 기술로 최고의 품질을 이루었다고 떠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이라도 한 번 문의해보십시오. 릴시트의 간격은 어떤 재료로 메웠는지를요.

답을 못한다면 직접 설계한 제품이 아니거나 직접 설계한 제품이라 하더라도 생산업체에서 설계한 것과 다르게 만들었다면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반증일 것이므로 이런 제품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겠지요?

아무리 옆에서 좋다고 떠들어도 말입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낚시의 조과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많은 물고기, 또는 큰 물고기를 잡는 것을 낚시인들은 조과(釣果)가 좋다는 말로 표현하는데 조과를 높이기 위해서…

45분 ago

새우(대하)의 내장은 먹어도 될까?

태풍이 지나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옴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하(大蝦)가 제철을 맞는 시기가 되었다. ​ 금년 여름,…

49분 ago

우리나라의 보리 생산량 통계

FAO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6만 7,9863톤의 보리를 생산하여 2021년보다 2만 여 톤이 감소한 것으로…

2시간 ago

우리나라의 AI 관련 논문 발표 건수 통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2,569건의 AI 관련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2시간 ago

2022년 인공지능 AI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 순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에서 AI와 관련한 논문을 가장 많이…

2시간 ago

우리나라의 파(葱: spring onion) 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파 생산량은 2004년 70만 201톤이 FAO에 보고된 것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2022년에는 모두 47만…

2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