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대

낚싯대(로드)의 가이드에 대하여

현재 낚싯대(로드)의 가이드는 시장의 점유율에서 일본의 후지(Fuji)가 가장 높은데, 로드의 가이드에는 티타늄, 스테인레스, K가이드, SIC가이드, 토르자이트 등 사용되는 용어가 많아 초심자들의 경우에는 구별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이드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우선 우리가 낚시를 할 때 입질이 오거나 아니면 챔질을 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의 감도는 우선 라인을 통해 전해지고, 그 진동은 가이드 프레임을 거쳐 로드의 진동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이드가 많을수록, 가벼운 가이드일수록 그 전해지는 감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낚싯대의 가이드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프레임과 링의 두 부분으로 구분이 된다.

▶가이드 프레임

프레임에는 스테인레스와 티타늄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소재의 종류에 따른 제품의 차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언급하기로 하고 오늘은 이런 것들이 있다는 정도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그리고 후지(FUJI)의 티타늄 프레임은 사진과 같이 각인이 되어 있는 것도 있고, 각인되지 않은 것들도 있다.

▶가이드의 소재

가이드로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 현재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것으로는 탄소와 실리콘의 화합물인 실리콘 카바이드를 사용한 SIC(SILICON CARBIDE) 가이드와 2013년 이후부터 후지공업과 일본 교세라가 공동개발한 토르자이트(TORZITE)가 SIC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를 받았고 지금 보급되고 있는 중이다.

가이드 링의 소재로 사용되는 재질은 경도와 열전도율은 높고 비중이 낮은 것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재질 별 비교는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된다.

▶가이드의 형명(型名): 이름

우리가 흔히 보는 K가이드, KT 가이드, KL가이드 등등의 가이드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칭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지공업의 가이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낸다.

T라는 것은 티타늄을 나타내고 이것이 P로 적여 있으면 스테인레스를 나타낸다.

가이드의 이름을 나타낸다.

KT가이드를 나타낸다.

링의 종류를 나타낸다.

T: 토르자이트링 S:SIC링 O:O링

가이드의 종류를 나타낸다.

G: 가이드 T: 톱 가이드

링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무늬오징어의 수명과 영양분

오징어의 연구가 우리나라에 비해 활발한 일본에서도 무늬오징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오징어의 생태에 대해서는…

2일 ago

원투낚시 정투로도 200미터를 넘길 수 있습니다.

원투낚시의 캐스팅 방법은 정투라고 부르는 오버스로 캐스팅을 비롯하여 팬듈럼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원투낚시에서…

6일 ago

갑오징어의 생태와 산란

많은 수중 생물들이 산란을 시작하는 봄을 맞아 갑오징어도 산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낚시와 관련한 글에서 언제나…

1주 ago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만든 정당들

맥주를 마시기 위해서 치킨을 먹는 것일까? 아니면 치킨을 먹기 위해서 맥주를 마시는 것일까? 아무튼 치맥은…

1주 ago

신안군 장산도 갯바위 낚시 포인트(8개소)

장산도의 주요 어종은 농어, 감성돔, 붕장어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2주 ago

쉽게 이해하는 카본 로드(낚싯대)의 톤수

현재 낚싯대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소재는 탄소섬유(카본)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카본의 탄성계수를 표시하는 30t, 40t라고…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