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스낚시

낚시용어 중 턴오버(turnover) 현상이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 것일까?

오늘도 초보낚시인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는 얘기를 해볼까 하는데 배스낚시를 갓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턴오버(turnover)란 용어나 물이 뒤집혔다거나 초봄엔 중층을 노리란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지금 말씀드린 이 세 가지는 모두 턴오버(turnover)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오늘은 턴오버(turnover)란 무엇이며 왜 발생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턴오버(turnover)란 상층의 물과 하층의 물이 상층수의 냉각으로 위치가 뒤바뀌면서 서로 뒤섞여 전체의 수질과 수온이 일정해지고 수온과 용존산소량에 큰 변화가 오는 현상을 말한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초봄의 배스는 중층을 노리란 말이 있는데, 예를 들어 저수지의 표면에는 살얼음이 얼어있고 하층의 수온은 6℃라고 가정하면 배스가 움직이는 중층의 온도는 몇 ℃나 될까요?

살얼음이 낀 바로 아래의 수온이 2℃ 정도라면 하층의 6℃의 물과 섞인 중층은 4℃ 정도가 될 텐데, 배스는 찬물을 좋아해서 6℃의 하층이 아닌 4℃의 중층에서 활동하므로 초봄엔 중층을 노리라는 것일까요?

정답은 짐작하시는 것처럼 물론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턴오버(turnover)에 관한 정보의 대부분은 수온의 차이에 의해 물이 섞이는 것이라고 하는 것들인데, 그렇다면 왜 봄·가을의 턴오버 외에 여름과 겨울의 턴오버에 대한 정보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일까요?

바로 이것은 턴오버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온도뿐만 아니라 물의 비중에 의한 것임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학교에서 배운 것처럼 물은 대기압 하에서는 4℃일 때 가장 밀도가 높습니다. 즉, 가장 무거운 물의 온도가 4℃라는 것이죠.

그러나 많은 액체는 온도가 내려가면 수축하여 밀도가 높아지는 반면, 물은 4℃ 이하가 되면 팽창하여 오히려 가벼워집니다.

따라서 지금 보시는 그림처럼 초봄의 배스가 움직이는 중층의 온도는 결코 4℃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와 6℃의 물을 칸막이가 있는 수조에 넣은 다음 칸막이를 제거하면 어떻게 될까요?

2℃와 6℃의 물의 밀도는 거의 같아서 칸막이를 제거해도 바로 섞이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전도에 의해 경계면의 온도는 중간 온도인 4℃를 형성하게 되는데 4℃는 물의 무게가 가장 무거운 온도이기 때문에 4℃를 형성한 물은 바닥에 모이게 되고 점점 그 층이 두꺼워지게 됩니다.

결국 열전도가 완전히 진행되기 전에는 섞이지 않은 2℃와 6℃의 물은 같은 층에 있고 바닥층의 물은 4℃를 형성하고 있음을 우리는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것이죠.

그럼, 이번에는 물의 온도를 10℃ 올려 12℃와 16℃의 물을 서로 섞어보면 어떻게 되는지를 보겠습니다.

16℃의 물은 12℃의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칸막이를 제거하는 즉시 위로 올라가고 경계면에서는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더 효율적으로 물이 섞이게 되며 14℃의 물은 12℃보다는 가볍고 16℃의 물보다는 무겁기 때문에 중간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자연 속에서 4℃의 물이 바닥으로 가라앉는 현상은 호수나 저수지의 수온과 호수나 저수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가 4℃를 사이에 두고 다를 때 경계면에서 섞인 물이 바닥으로 가라앉음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이 온도가 자주 형성되는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는 것이어서 봄·가을의 턴오버만 검색되는 것이랍니다.

그림을 보면서 말씀드리면 호수의 온도를 결정하는 것은 사계절의 기온과 일조량으로 봄에 표면의 찬물이 데워져 4℃가 되면 비중은 가장 무거워져 아래로 가라앉게 됩니다.

게다가 봄바람의 영향으로 대류가 일어나 물 전체의 수온이 거의 4℃가 되는데 바로 이것이 봄철 턴오버이고, 여름이 되면 표면의 수온은 더 올라갑니다.

한편 가을이 깊어지면서 표층의 물은 차가워져 봄과 마찬가지로 수면 근처와 저층의 수온에 큰 차이가 없어지는데, 바로 이것이 가을철 턴오버라고 하는 것으로 수면에 가까운 쪽의 물일수록 온도가 낮은 양상을 나타냅니다.

물론 바다에서도 이런 유사한 현상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바닷물은 수온 외에도 염분과 기압에 의한 밀도의 차이라는 변수가 있어서 조금은 복잡합니다.

수온과 염분이 서로 다르고 밀도는 같은 바닷물이 혼합되면 바닷물의 밀도는 높아져 더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을 캐벌링 효과(cabelling effect)라고 하는데 이에 관한 얘기는 나중에 소개하기로 하고 오늘은 여기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자연산과 양식 참돔의 구분 및 참돔과 황돔의 구분

수산시장에서 판매하는 먹거리, 특히 활어에 대한 불신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무게를…

35분 ago

광어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것들(배가 검은 광어는 정말 양식장을 탈출한 것일까?)

몇 년 전에는 석문방조제에서의 광어낚시가 핫했었고, 올해는 예년보다 많은 주꾸미를 워킹으로 잡을 수 있었는데, 그것은…

40분 ago

내가 잡은 감성돔은 몇 살이나 되었을까?(감성돔의 연령측정 방법)

5짜가 넘는 감성돔은 잡기도 쉽지가 않지만, 잡았다고 하더라도 몇 년이나 된 것인지 도통 그 나이를…

44분 ago

낚시의 조과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많은 물고기, 또는 큰 물고기를 잡는 것을 낚시인들은 조과(釣果)가 좋다는 말로 표현하는데 조과를 높이기 위해서…

2시간 ago

새우(대하)의 내장은 먹어도 될까?

태풍이 지나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옴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하(大蝦)가 제철을 맞는 시기가 되었다. ​ 금년 여름,…

2시간 ago

우리나라의 보리 생산량 통계

FAO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6만 7,9863톤의 보리를 생산하여 2021년보다 2만 여 톤이 감소한 것으로…

3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