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낚시를 다녀온 후의 장비 손질 방법

출조를 다녀오면 적어도 3~5회에 한 번 정도는 낚싯대와 릴에 묻은 염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이 바로 염분의 제거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은 지난번에 알아본 릴의 세척방법에 이어서 낚싯대의 손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낚싯대의 경우에는 해수로 인하여 염분이 묻는 이외에도 미끼를 만진 손으로 로드를 잡음으로써 오물이 묻기도 합니다. 이것을 오래도록 방치하면 로드에 손상이 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손질하는 방법은 릴을 세척하는 것과는 달리 아주 간단합니다.

우선 릴의 가이드 부분과 릴시트 부분을 중점적으로 물을 뿌려주도록 하고 기타의 장비는 용기에 물을 담아 담가둠으로써 염분을 제거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릴의 스풀을 물에 담가 두는 것은 드랙에 무슨 그리스를 어디에 발라야 하는지도 모르는 분들이나 분해와 조립을 할 수 없는 분들께는 권하고 싶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지난번에 알아본 릴의 세척방법을 참조하여 드랙을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 흐르는 물로 라인만을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이제 낚싯대의 세척과 손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낚싯대의 뒷마개를 분리하여 물을 뿌려도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낚싯대에 손상이 가지 않는 경우라면 바닥에 두고서 물을 뿌려도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낚싯대를 세운 상태에서 물을 뿌려주도록 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면 물로 세척하는 것은 염분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가이드 프레임을 비롯한 금속으로 된 곳입니다.

보통 조행을 마치고 손질을 하는 모습을 보면 로드의 표면만 중점적으로 닦는 분들이 계시는데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 및 릴시트 등 금속으로 된 부분을 더욱 세밀하게 손질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물로 세척이 끝난 로드는 수건이나 키친타올을 이용하여 닦아준 후 반드시 뒷마개를 분리한 상태로 그늘에서 건조시키도록 합니다.

이렇게 세척과 건조가 끝난 로드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로드와 가이드용 코팅제를 발라주면 더욱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진출식 로드의 경우 로드를 뺄 때 잘 빠지지 않거나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반드시 로드의 내부까지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세척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렇게까지는 하기 싫어~^^ 라는 분들의 경우에는 요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염분중화제가 함유된 물티슈를 이용하여 닦아주는 정도의 관리는 할 것을 권유드리며 특히 가이드 부분을 중점적으로 닦아주시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리며 글을 마칩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3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5일 ago

갑각류는 삶거나 찔 때 고통을 느낀답니다.

동물보호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는 가장 앞선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스위스에서는 기니피그와 앵무새와 같이…

5일 ago

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

이제 가을도 지나고 겨울의 문턱에 서 있다. 이것은 술을 즐기는 내가 좋아하는 안주인 생굴을 맘껏…

7일 ago

수질이 다른 저수지에서 배스를 잡는 방법

이전에 “물의 맑기를 나타내는 영어표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물의 맑기, 즉 수질(水質)에 따라 배스를 잡기 위해서는…

7일 ago

가을철 무늬오징어 낚시

본격적으로로 시작된 주꾸미 시즌을 맞아 근자에 사회적으로 약간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에 대해서 편한 마음은…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