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패류상식

고래회충은 블랙 라이트를 이용하면 조금 더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되기가 무섭게 서울 이태원 클럽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폭발하였는데 코로나 19의 영향은 낚시업계도 피해갈 수는 없어서 보령시에서는 낚싯배를 운영하는 분들에게 긴급생활자금을 지원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전자신문의 2020년 5월 1일자 인터넷판 기사 ‘옥션, 캠핑·낚시 나홀로 레저용품 불티…1인용 텐트 3배↑’를 보면 “바다낚시 용품은 31%, 민물낚시 용품은 56% 더 팔렸고, 루어낚시 용품도 56% 판매신장을 기록했다. 초보자들을 위한 낚시 세트도 86% 판매가 늘었다.”고 한다.

이처럼 홀로 낚시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면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문제는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그중의 하나로 생선회를 먹을 때 주의해야 하는 기생충을 꼽을 수 있다.

※ 바닷물고기 기생충의 종류와 인체유해 여부

 

바닷물고기의 기생충 중에서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는 있으나 현장에서 회를 뜨거나 잡은 물고기를 살려와 집에서 회를 뜰 때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낚시인이라면 가족 친지들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블랙 라이트 하나쯤은 갖출 것을 추천하고 싶다.

고래회충(Anisakis 아니사키스)은 해양 포유동물인 고래와 돌고래의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것으로서 아니사키스 성충이 고래의 몸속에서 알을 낳으면 그 알들은 고래의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어 수중에서 성장하다가 중간숙주인 크릴새우가 유충을 먹고 다시 제2 중간숙주인 물고기나 오징어 등이 크릴새우를 먹게 되고 그 후에 사람이 이 물고기나 오징어를 먹음으로써 고래회충의 유충으로부터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식 물고기보다는 낚시로 잡은 물고기에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으나 회를 뜨면서 이것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게다가 미국 워싱턴대학의 연구진이 최근에 발표한 바에 의하면 1978년부터 2015년 사이에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이 283배나 급증했다고 하는데 낚시로 잡은 바닷물고기를 회로 뜰 때 블랙 라이트가 있으면 조금 더 쉽게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가시광선 근처에 있는 자외선의 일반적인 용어로 야광효과에 이용하는 블랙 라이트(black light)는 시중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데 대부분 315~400nm을 조사할 수 있고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은 대부분 370nm 부근에서 반응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365nm 제품을 구입하면 고래회충을 맨눈으로 찾는 것보다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절대적인 것은 아니어서 과신은 금물이란 점을 반드시 명심해두는 것이 좋다.

자외선에 약하게 반응하는 고래회충(아니사키스)도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있는 것은 블랙 라이트로 찾을 수 있지만 살 속으로 파고든 것이나 흰살생선과 오징어에 있는 것들은 발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낚시로 잡은 다음 회로 먹기 위해서는 가급적 빨리 피를 빼고 내장을 제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1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1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2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3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3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