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깅낚시

갑오징어의 생태와 산란

많은 수중 생물들이 산란을 시작하는 봄을 맞아 갑오징어도 산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낚시와 관련한 글에서 언제나 강조하는 것처럼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잡으면 돌려보내는 미덕을 발휘하는 낚시인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갑오징어는 모래와 암초가 함께 있고 토질은 모래와 진흙이 섞여 있는 사니질(沙泥質)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무늬오징어와는 달리 유영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갑오징어를 낚시로 잡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바닥층을 공략하는 것이 필요하며 샤크리 액션도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모든 오징어들이 체내에 뼈를 가지고 있지만 특히 갑오징어의 경우에는 석회질로 이루어진 끝이 뾰족한 모양의 큰 뼈를 지니고 있어서 누구라도 구분이 가능하지만 많은 분들이 모르는 것으로는 오징어도 아가미로 호흡을 한다는 것을 들 수가 있습니다.

사진 왼쪽: 무늬오징어의 뼈 오른쪽: 갑오징어의 뼈

갑오징어의 뼈

갑오징어의 산란은 생물학적 용어로는 난낭이라고 하는 알을 낳는데 무늬오징어가 1개의 난낭에 여러 개의 알이 붙어있는데 비해 갑오징어는 1개의 난낭에 1개의 알만 들어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갑오징어의 알

무늬오징어의 알

그리고 주로 일본 근해에서 잡히는 갑오징어의 한 종류인 시리야케오징어는 알의 색깔이 검은 빛을 하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산란을 마친 갑오징어의 알들을 보면 겉에 모래가 묻어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암컷이 알을 보호하기 위해서 붙이는 것으로 동물들의 모성애 본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갑오징어는 암컷과 교배를 하기 위한 수컷들의 구애동작과 새끼 갑오징어가 천적들의 먹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은신하는 경우에 카멜레온과 같이 많이 주변의 색깔에 맞추어 피부색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재미난 사례로는 호주 맥쿼리 대학의 브라운 교수가 발표한 논문이 있는데 이 논문의 내용을 보면 호주 동부해안에 서식하는 갑오징어의 일종인 Mourning Cuttlefish 암컷과 교배하려는 수컷이 몸의 피부색 절반을 암컷처럼 바꾸어 다른 수컷들로부터 암컷을 숨기려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영어 원문기사 보기)

한편 갑오징어의 개체수가 많기 때문인지, 그들의 식문화 때문인지 저로서는 알 수가 없지만 일본에서는 새끼 갑오징어를 아주 고급 식재료로 사용한다고 하며 가격이 무려 kg당 30만 원 이상을 호가한다고 합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1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1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2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3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3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