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갈치의 수입통계와 전세계 생산량 통계

갈치 다들 좋아하시죠? 그런데 마트에서는 세네갈산 갈치를 자주 보게 됩니다.

2022년 냉장갈치는 237.6톤을 수입하였는데 일본으로부터 전체물량의 99.9%인 237.4톤을 수입하였습니다. 그리고 냉동갈치는 모두 12,858.1톤을 수입하였으며 이 가운데 세네갈에서는 33.8%인 4,342.2톤을 수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세네갈의 뒤를 이어 모로코에서 2,055.5톤(15.9%), 에쿠아도르에서 1,583.6톤(12.3%), 오만에서 1,267.8톤(9.85%)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순위
수입국가
수입량(톤)
수입금액(원)
1
세네갈
4342.2
14,846,667,000
2
모로코
2055.5
7,402,995,600
3
에쿠아도르
1583.6
3,646,030,800
4
오만
1267.8
6,868,047,200
5
남아프리카공화국
858.3
2,513,271,400
6
베네주엘라
715.8
3,405,673,800
7
중국
631.5
5,383,996,800
8
일본
225.4
2,270,449,200
9
브라질
183
804,887,800
10
나미비아
160.5
377,175,600
11
베트남
112.1
513,994,200
12
수리남
105.4
345,128,000
13
아랍에미리트
80.6
378,408,200
14
모리타니
72.4
110,934,000
15
대만
64.7
389,501,600
16
인도네시아
54.7
310,615,200
17
소말리아
46.2
99,840,600
18
예맨
45.7
235,426,600
19
인도
40.4
181,192,200
20
기니
35.4
77,653,800
21
기타
176.9
761,746,800
합 계
12858.1
50,923,636,400

■ 우리나라의 갈치 어획량(1985년~2020년)

우리나라는 2016년 가장 적은 32.359톤을 어획한 이래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중인데 우리나라의 어획량과 전세계 갈치어획량의 통계를 그래프와 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FAO의 통계는 검은 갈치와 은빛 갈치 꼬치의 어획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년도
어획량(톤)
1985
132,426
1986
113,297
1987
117,972
1988
113,499
1989
109,204
1990
112,427
1991
105,821
1992
94,066
1993
63,977
1994
110,690
1995
102,166
1996
82,853
1997
78,742
1998
84,436
1999
77,311
2000
93,185
2001
83,401
2002
64,029
2003
66,125
2004
69,093
2005
62,151
2006
65,788
2007
68,512
2008
75,092
2009
87,815
2010
59,852
2011
33,548
2012
34,326
2013
47,657
2014
47,118
2015
41,085
2016
32,359
2017
54,521
2018
49,450
2019
43,516
2020
65,724

 

■ 전세계 갈치어획량 통계(2021년)

우리나라는 2021년 65,724톤의 갈치 어획고를 올렸는데 이는 전세계 어획량의 4.65%에 해당하는 양이며 중국이 가장 많은 903,435톤으로 63.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중국
903,435
2
인도
146,000
3
인도네시아
70,638
4
대한민국
65,724
5
이란
53,270
6
오만
21,721
7
말레이시아
17,508
8
앙골라
15,033
9
태국
13,379
10
대만
13,189
11
파키스탄
12,538
12
모로코
11,810
13
필리핀
11,780
14
일본
6,800
15
나이지리아
5,323
16
베네수엘라
4,890
17
포르투갈
4,736
18
세네갈
3,914
19
남아프리카
3,492
20
이집트
2,627
21
가나
2,589
22
브라질
2,400
23
콩고 공화국
2,387
24
콩고 민주공화국
1,930
25
예멘
1,785
26
뉴질랜드
1,672
27
코트디부아르
1,410
28
기니 비사우
1,270
29
홍콩
1,175
30
멕시코
1,108
31
프랑스
853
32
시에라리온
825
33
에콰도르
779
34
벨리즈
625
35
이탈리아
583
36
페로 제도
479
37
몰타
301
38
스페인
262
39
미국
230
40
모리타니아
205
41
페루
181
42
러시아
178
43
감비아
136
44
아르헨티나
107
45
베넹
105
46
아이슬란드
102
47
리투아니아
68
48
라이베리아
63
49
튀니지
60
50
포클랜드 제도
50
51
가봉
32
52
적도 기니
25
53
싱가포르
24
54
영국
20
55
요르단
10
56
브루나이
9
57
지부티
8
58
콜롬비아
1
59
토고
1
합 계
1,411,854

 

낚만 지월

Recent Posts

시마노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마노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를 한…

4일 ago

한국시장이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낚시용품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다이와의 이름은 정확하게는 글로브라이드 주식회사(GLOBERIDE, Inc)이며 다양한 사업분야 중에서…

4일 ago

물고기를 못 잡으면 죽을 수도 있었다.

개인적으로 탐구를 계속하고 있는 한국 바다낚시의 역사에 대하여 올해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4일 ago

죽음의 방파제

우리나라에서도 테트라나 갯바위 등에서 낚시를 하다 사망하는 경우도 있고,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정부나 지자체에서 낚시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1주 ago

낚시를 좋아했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

금세기를 대표하는 베이스 가수라는 평가를 받는 러시아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이 낚시를 좋아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1주 ago

서프루어의 상식 하나, 비치 커스프와 언더토우

이미지 by David Abercrombie ​ 요즘은 가족과 함께 낚시를 즐기는 분들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은…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