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로 시작된 주꾸미 시즌을 맞아 근자에 사회적으로 약간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에 대해서 편한 마음은 아니다.
간간이 올라오는 무늬오징어에 대한 문의의 글들을 보고 오늘은 아침 출근과 함께 모닝커피를 한 잔 마시면서 간략하나마 가을철의 무늬오징어 낚시에 대해서 언급할까 한다.
가을 철 무늬오징어의 주 대상이 되는 것들은 금년 봄에 산란되어 성장한 것들이라는 것이다. 물론 크기가 큰 것들도 있지만 봄철에 잡히는 것에 비해서는 작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고로케 크기라거나 돈까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대략 8 월말 정도부터 낚이기 시작하며 추석이 지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8월 말에서 9월 초, 중순에 잡히는 것들은 대개가 2.5호 정도의 에기에 잘 반응을 하는 작은 것들이기 때문에 약간은 안습이기도 하다.
그러나 무늬오징어는 자기 몸의 1.5배까지의 크기도 먹이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이보다 큰 에기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는 것은 아니다.
금년에 산란된 것들은 대형에 비해 경계심이 적고 호안을 따라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 밑까지 확실히 노리는 것이 좋은데 가을 오징어는 발 밑만을 공략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 해안 근처에 있다. 대형 제방의 그림자나 테트라포트의 그림자에 숨어있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봄철과 마찬가지로 해초가 밀생하는 장소가 일급 포인트이며 내항 등 파도가 잔잔한 곳이나 선착장과 배가 드나들 수 있도록 깊게 판 곳 등도 무늬오징어를 노려볼 수 있는 포인트다.
그리고 근처에 육식어종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장애물에 숨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능한 수초가 밀집하여 군락을 이루고 있는 지점이나 아니면 무늬오징어가 은신할 수 있을 것 같은 곳을 중심으로 공략하는 것이 좋다.
가을철 무늬오징어는 경계심이 적기 때문에 초심자들도 손맛을 비교적 보기가 쉬운 계절이다. 호기심이 많은 가을철의 무늬오징어는 에기를 뒤쫓아 발 밑까지 따라 오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것을 보면서 오징어의 눈앞에서 에기를 흔들거나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해서 달라 붙는 것을 눈으로 지켜보면서 낚시하는 것도 재미있다.
가을철의 무늬오징어도 기본적으로 봄철의 큰 무늬오징어를 노리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되는데 초보자들의 경우에는 가능하면 마음 속으로 카운트를 하면서 에기가 지금쯤 어디에 있는지를 생각하면서 낚시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지금 에기가 바닥 쪽으로 타고 오는지? 중층인지? 카운트 해두면 대략 어디쯤에서 타고 오는지 알 수 있으므로 집중력이 늘어난다.
특정 제품명을 거론하게 될 것 같아서 자세한 언급은 피하지만 가을철의 무늬오징어를 노리는 에기는 조금 인기가 적은 것이기는 해도 통상의 것처럼 크게 튀어 오르는 에기보다는 좌우로 많이 움직이는 유형의 에기를 선택하는 것이 더 좋다는 말씀을 마치며 오늘의 글을 마칠까 한다.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